2>소비자들이 말하는 생산이력제
정부가 우리 수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감을 회복시키기 위해 수산물 이력정보를 기록해 관리한 후 투명하게 공개하는 ‘수산물이력추적 시범사업’에 대해 소비자들은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수산물 이력추진사업은 지난 2005년에 도입돼 그동안 시범사업을 거쳐 올해 본격적으로 시행된다.
2005년에 추진된 1차 시범사업은 양식수산물 3개 품목(김, 넙치, 굴)에 대해 시행했고 2차 시범사업에서는 기존 3개 품목 외에 양식수산물 5개 품목(미역, 조피볼락, 바지락, 송어, 뱀장어)과 조업어류 2개 품목(참조기, 멸치)으로 확대됐다.
또 소비자가 쉽게 이력추적 수산물을 구입할 수 있도록 수산물이력추적 상품판매 매장을 1차 연도 2개 유통업체 7개 매장에서 2차 연도에는 5개 유통업체 10개 판매장(온라인 판매 포함)으로 확대했다.
아울러 소비자가 수산물이력상품의 이력정보를 간편하게 볼 수 있도록 1차 연도의 13개 식별번호 체계를 2차 연도에는 바코드 체계로 바꿔서 직접 13자리 숫자를 입력하지 않고 바코드 조회기를 통해 이력정보를 확인토록 했다.
수산전문가들은 이에 대해 “수산물 생산이력제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소비자가 수산물 이력추적 사업을 제대로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수산물이력추적제도 얼마나 알고 있나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가 실시한 수산물 이력추적제도에 대한 조사에서 소비자들은 전체 응답자 506명중 44.3%인 224명이 수산물 이력추적제를 알고 있다고 응답했다.
나머지 274명은 모르고 있다고 응답해 아직까지 조사대상 가운데 절반 이상의 응답자들이 수산물 이력추적제를 잘 알지 못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력추적제도에 대한 인지도는 추적제를 알고 있는 응답자 중 30대 연령층 비율이 37.9%로 다른 연령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수산물이력추적제도 어떻게 알았나
조사에 참여한 소비자들은 이력추적제를 유통업체 매장 내 홍보물 49.6%, 방송 및 신문 등 언론매체 32.6%, 유통업체 전단지 7.1%를 통해 수산물 이력추적제도를 알게 됐다고 응답했다.
이는 소비자가 직접 상품을 구매하는 점포 내 홍보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향후 수산물이력추적제 사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유통업체 홍보지원과 방송, 신문 등 언론매체 홍보활동이 중요하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수산물이력추적제 상품 구입하게 된 이유는
소비자들은 이력제 상품을 ‘정부가 인정하기 때문에 안심되어서 구입한다’고 답했다.
아울러 소비자들은 이력추적제 상품을 구매하면서 45.7%가 이력정보를 확인해 봤고 바코드 형태로 되어있는 시스템이 비교적 편리하다고 답했다.
반면, 이력정보를 확인하지 않는 소비자들은 “이력 추적제 상품 표시만으로 상품을 믿을 수 있기 때문에 이력정보를 확인할 필요를 못 느낀다”고 답해 이력추적제 상품 표시 수산물을 정부 인증 안전 수산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정보 확인 절차가 복잡해 확인하지 않았다는 소비자들도 있어 정부가 현재의 정보전달 매체(바코드)보다 더 쉽게 수산물이력추적제 상품정보를 볼 수 있도록 하는 매체나 관련 정보기술의 도입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 기자명 신성아
- 입력 2008.01.09 10:00
- 수정 2015.06.25 16:32
-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