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겉도는 수협 경제사업
- 문제점과 원인은
- 어떻게 추진해야 하는가

- ''수산물 유통 중추'' 역할 인식
- 규모·조직화 시스템 구축···소비자·생산자 이익 대변

수협 경제사업이 나가야 할 방향은 의외로 단순하다. 협동조합으로서 제 기능을 다하는 동시에 시대의 요구에 맞춰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생산자인 어업인과 소비자 모두의 이익을 대변하며 수산물 유통구조 내에서 ‘수산업이 돈이 되는 산업’이라는 인식을 심어주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수협이 산지와 소비지를 잇는 가교가 되는 동시에 물량과 가격에 대해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조직이 돼야 한다는 게 관계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특히 수산업의 경우 위판장을 통한 산지 집하·분산 기반이 구축돼 있어 농업보다 생산자 중심의 유통체계로 개선이 훨씬 수월하다는 이점도 있다.

따라서 단순히 위판·상장에 그치고 있는 위판장 중심의 수산물 유통구조에서 벗어나 규모화·조직화된 시스템이 요구되는 것이다. 여기에 시대적 요구에 맞는 시설 개선과 위생기준도 필요하다. HACCP(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 인증 등 위생기준을 통해 수산물 안전성을 확보하고, 변화하는 소비 트렌드와 니즈(needs)에 따른 가공기술도 요구된다. 어획후처리를 통해 조리 편이성을 도모하고, 1인 가정 등을 타깃으로 삼는 등 시대변화에 따라야 한다는 것이다.

이 같은 산지에서의 노력과 더불어 소비지 물량과 가격 컨트롤을 통해 생산자와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역할도 요구된다. 이는 생산지가 가격 주도권을 행사할 수 있어야 가능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이를 위해 대형화, 규모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FPC(수산물 산지거점유통센터)와 소비지 물류센터가 이러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수협은 생산자 조직이자, 산지에 거대 유통망을 확보한 조직으로서 대형유통업체와의 교섭력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소비지에서의 영향력과 교섭력이 산지 생산자의 이익을 보장하는 방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류정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박사는 “수협의 경제활동은 산지 위판에 그쳐서는 안 된다”며 “갖춰진 수집 기반을 토대로 수산물 유통의 중추가 돼 소비지 교섭력을 갖출 수 있어야 한다”고 수협의 역할을 강조했다.

그는 이어 “특히 대형유통업체와 관계에서 수협이 주도권을 잡을 수 있어야 수산물 유통과정에서 생산자와 소비자의 권익이 담보될 것”이라고 부언했다.

아울러 인식의 변화도 요구된다. 경제사업에 대한 수협의 인식은 ‘시장’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를 보다 확대시켜 거시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특히 위판 수수료에 의존하는 경제사업이 아니라 가공하고, 창출하는 경제사업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경제사업을 바라보는 수협 내부의 인식부터 개선돼야 한다는 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