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조직 ''턱없이 부족'' -부가가치 높은 ''최종 상품'' 육성…경쟁력 확보 필요




수산물 수출을 확대하기 위해 관련 지원사업과 수출진흥업무를 총괄할 수 있는 수산물 수출전담기구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국내 농식품 수출금액 중 수산물이 차지하는 비중은 30%가 넘지만 이는 대부분 부가가치가 낮은 원물의 형태로 수출될 뿐 가공수산물 등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낮다.

또한 수출 지원 사업 또한 주도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전담 조직이 없이 업무를 분산해 추진하고 있어 한국산에 대한 이미지 메이킹이 어렵다는 한계도 보이고 있다.

이 때문에 업계에서는 수산물 수출과 관련된 사무를 일관된 방향으로 처리할 수 있는 조직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수산물 수출의 현황과 문제점을 짚어보고 수출 확대방안을 모색해본다.

# 생산액 적지만 수출액 비중 커

수산물의 연간 생산액은 비교적 적지만 수출액은 전체 농식품 수출액의 1/3 가량을 차지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1년 농림어업생산액은 51조2870억원으로 농업부문은 43조2141억원을 차지한데 비해 어업 부문 생산액은 8조922억원에 머물러 수산분야 생산액은 전체 농림어업생산액의 15.7% 가량을 차지하는 데 그쳤다.

반면 수산물 수출액은 전체 농식품 수출액의 30%에 달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올해 발간한 2012년도 농림수산식품수출입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농식품 수출액은 80억 1000만불로 수산물 수출액은 전체 농식품수출액의 29.5%를 차지한 것으로 집계됐다.

즉 수산물 생산액은 농업에 비해 매우 적지만 수출액은 상당히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셈이다. 특히 담배와 같은 식품으로 보기 어려운 일부 가공품을 제외하면 상위 10개 품목에서 수산물이 차지하는 비중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 수출지원, 인프라 확충해야

해양수산부는 내년도 예산안에서 수산물 해외시장개척 예산을 전년대비 큰 폭으로 늘어난 75억원을 편성했고 수산물 수출활성화를 위해 수출전략품목 예산으로 전년대비 23% 늘어난 278억9000만원을 편성했다.

하지만 이같은 예산은 수산물 수출을 확대하기 위해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시장개척, 물류비, 원료구매자금 등 농식품 수출확대를 위한 예산으로 5096억원을 편성했는데 이중 해외시장개척을 위한 예산만 331억원을 편성한 것과 대비되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수산물 수출을 활성화할 수 있는 지원조직 또한 전혀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인터라 수산물 수출업체들이 해외시장 개척에 나서려 해도 마땅한 지원조직 또한 없는 실정이다.

현재 수산물 수출지원사업은 aT와 한국수산무역협회,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등에서 분산해서 업무를 맡고 있다. 하지만 aT는 총원 632명 중 수출진흥사업을 추진하는 부서는 해외지사 9곳 24명을 포함한 121명이지만 수산물 수출을 맡고 있는 수산임산수출팀은 7명에 불과하며 그나마도 임산물 수출진흥업무와 병행해 실질적으로는 3~4명의 인력이 수산물 수출지원사업을 맡고 있는 실정이다.

KOTRA 역시 국내 전체 기업을 대상으로 지원이 이뤄지기 때문에 영세한 수산물 수출업체가 지원을 받기에는 현실적으로 힘들며 수산무역협회는 수출지원보다는 일본 해조류 수출 쿼터 관리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실질적인 수출지원은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이 수산물 수출업체들의 평가다.

장홍석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부연구위원은 “수산물 수출액이 전체 농식품 수출액에서 30% 가량을 차지하지만 수출시장 개척을 위한 물적·인적 지원은 수출비중에 크게 못미치고 있다”며 “또한 현재 수산물이 거의 원물상태로 수출되고 있는데 한정된 수산자원을 가진 우리나라가 러시아 등 자원이 풍부한 나라와 경쟁하기 위해서는 최종적으로 만들어진 ‘상품’을 육성하고 이에 대한 경쟁력을 확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부가가치가 높은 최종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서는 수입국 소비자들의 수요를 파악하고 시장을 개척하려는 노력이 필요한데 국내 수산물 수출업체는 해외 시장을 개척할 여력이 없다”며 “이 추세라면 수산물 수출이 확대되기보다는 점차 축소될 공산이 크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