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산업은 수확후관리의 도입이후 획기적인 변화를 맞이했다고 볼 수 있다.
국내 수확후관리기술은 1980년대 후반 무렵 도입, ‘SAVE&SAFE’를 캐치프레이즈로 농식품 수확이후의 감모율을 획기적으로 저감시켜 불필요한 사회적 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국민들에게 안전한 농식품을 공급하는 밑거름이 되고 있다.

도입 20여년을 맞은 수확후관리기술은 APC(농산물산지유통센터)를 중심으로 점차 발전, 농업 뿐만 아니라 농식품 유통까지 영향을 주고 있다.
실제로 수확후관리 도입 이전에 2~3월까지가 저장한도였던 사과는 저장기간이 2배가량 연장돼 5~6월까지 고른 출하가 가능해지는가 하면 파프리카 등 일부 수출품목은 대일 수출위주에서 호주 등 수출국 다변화를 꾀할 수 있게 됐다.

또한 경북 성주 벽진농협에서 동남아시아 국가를 대상으로 한 참외수출시 신선도 저하로인한 상품성 문제로 고가의 항공운송을 통해 수출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농업기술실용화재단과 농협중앙회가 공동으로 추진한 수확후관리기술 현장적용 상품화 프로젝트를 추진한 결과 1kg당 6850원의 운송비가 들던 싱가포르는 911원으로 낮아져 운송비를 86% 가량 절감하고 홍콩은 운송비가 1kg당 6850원에서 387원으로 낮아져 93%가 절감, 운송비 절감을 통해 수출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게 됐다.

수확후관리기술을 통해 농가에서는 수확철 집중출하를 피해 성수출하기 가격하락을 억제해 추가소득을 올리고 유통업체는 감모율이 저감, 농식품을 보다 합리적인 가격에 소비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뿐만 아니라 농식품의 위생수준을 한단계 업그레이드하는가 하면 고른 가격으로 농산물을 분산출하해 소비자들도 계절의 영향을 비교적 덜받고 적절한 가격에 안전한 농식품을 구매할 수 있게 됐다.

김종기 중앙대 교수는 “수확후관리기술을 도입한 이후 출하시기를 비교적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집중출하로 인한 가격하락을 막고 농가소득을 높일 수 있게 됐다”며 “또한 오랜시간 저장할 수 있어 소비자들도 연중 고른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어 사회 전체적인 후생이 증가하는 효과를 가져왔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감모율에 대한 구체적인 통계치는 없지만 수확후관리 기술 도입이후 상당부분 저감된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수확후관리기술이 계속 개발됨에 따라 공급이 안정되고 이에 맞춰서 수요도 안정세를 찾아가고 있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