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차 산업화’
  박근혜 농정의 최우선 정책 중 하나다. 박근혜 정부 출범과 함께 입각한 이동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부임 이후 줄기차게 추진해 온 정책이기도 하다. 이 장관 입장에서는 학자 시절부터 관심이 있었던 분야이기도 하고, 현 정부의 공약이기도 한 만큼 꼭 성공시켜야 하는 과제인 셈이다. 
  그래서인지 지난 18일 문경시 농업기술센터에서 열렸던 ‘농업의 6차산업화 성과 확산 보고대회’에서 이 장관은 올해로 4년차를 맞고 있는 ‘6차 산업화’정책과 관련, “4년이면 사과나무를 심어도 열매를 맺는 시기”라고 말하고 “각 기관별로 역할을 분담해서 시너지를 내고 구체적인 성과 지표를 만들라”고 지시했다. 그는 이어 “내년 이맘때 손에 잡히는 성과가 없다면 해당 기관의 역할과 기능을 재고하겠다”고 밝혔다. 낮은 톤으로 말했지만 강경 발언이었다. 정부가 4년 동안 드라이브를 걸어왔던 만큼 이제는 제대로 된 성과를 내야 한다는 부담이 묻어있는 것이다.
  지난 3년간 6차 산업 정책이 지속적으로 추진되면서 창업자 수는 2013년 360개소에서 2015년 472개소로, 인증사업자 평균매출액은 2013년 7억 4700만원에서 9억 3100만원으로 증가하는 등 소기의 성과를 낳았다.
  정부 출범 초기, 수 많은 농업 정책 중 6차 산업이 핵심 정책으로 부각된데 대해 곱지 않은 시각이 있었던 게 사실. 그러나 정책이 일관되게 추진되면서 아직 만족할 만하지는 않지만 성과를 내기 시작했다. 정책의 지속성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농식품부는 올해 ‘지역단위 6차산업화 시스템 구축’을 역점 사업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지역 특화 품목을 중심으로 생산·가공·유통·관광 등에 종사하는 경영체들이 가치사슬 효율화, 주체간 연계 등을 통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체계를 만들어 보자는 것이다. 
  이를 위한 핵심 주체는 농협이다. 산지 조직을 활용한 안정적 원료 농산물 공급과 가공, 유통 효율화를 추진해 나갈 때 6차 산업화 시스템이 제대로 가동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정부도 지역 농협을 6차 산업화 시스템의 핵심 주체로 내세웠다.
  농협 등 산지 조직을 중심으로 조직화와 규모화가 제대로 육성될 때 이같은 시스템이 구축될 수 있는 것이다.
  얼마전 농식품부의 한 고위 공직자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산지의 조직화와 규모화만 제대로 이뤄진다면 농업문제의 거의 대부분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6차 산업화도 마찬가지이다. 6차 산업을 추진해 나갈 주체들의 조직화, 규모화가 제대로  이뤄질 때, 수 년 간의 노력을 보상해 줄 ‘성공신화’를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다.
  농업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지역의 일자리를 창출하며 나아가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6차 산업화’ 성공 키워드, ‘조직화와 규모화’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