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복합! 박근혜 정부 들어 최대의 화두다. 정부, 산업계, 학계 종사자 누구를 만나더라도 한 마디씩 하는 말이 융복합이다. 이 단어를 쓰지 않으면 마치 시대에 뒤떨어진 사람 취급을 받을까봐 두렵기까지 할 정도다. 앞으로 살아남기 위해서는 융복합을 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의미로 다가온다. 나 홀로는 안 된다. 서로 다른 제품과도, 서로 다른 기술과도, 서로 다른 비즈니스 모델과도, 서로 다른 산업과도 ‘결합’이나 ‘융합’을 통해 혁신의 길을 찾아야만 살아남을 수 있다는 강력한 권고와 경고라고나 할까?
  농업계에서는 융복합하면 ‘ICT(정보?통신?기술)융복합’이 먼저 떠오른다. 하지만 융복합의 대상은 제한이 없다. BT(생명공학기술), NT(나노기술), ET(환경기술)와의 융복합도 가능하다. 기업경영에서는 일찍이 인문학과의 융합을 통한 가치혁신이 강조돼 왔다.
  융복합은 정부정책에 있어서도 예외일 수 없다. 농업분야에서 말하는 ICT융복합은 산업정책 측면에서 제한돼 있지만, 농식품부 정책 역시 서로 다른 분야 간 융합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지 말라는 법이 없다.
  농업정책과 농촌정책의 융복합을 제안한다.
  융복합이 가능한 농식품부 정책은 무엇이 있을까? 먼저 협동조합 정책이다. 그동안도 그렇고 지금도 마찬가지로 협동조합 정책은 효율화에 초점이 맞춰져 추진되고 있다. 현재 입법예고 중인 농협법개정(안) 역시 마찬가지다. 문제는 모든 지역 농?축협을 경제사업의 효율화라는 농업정책으로 두부모 자르듯 획일적으로 재단할 수는 없다. 지역 농협은 경제주체이기도 하지만 지역사회를, 지역공동체를 유지 발전시키는 역할도 수행한다. 지역에 따라 경제사업보다 지역공동체 역할이 더 강조되는 농협도 있다. 이런 점을 감안한 정책의 융복합이 나와야하지 않을는지?
  쌀들녘별경영체사업도 농업정책과 농촌정책을 융복합하는 방향으로 추진할 수 있다. 가능하지 않을까? 이 사업은 쌀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사업으로 효과와 평가도 좋다. 다만 지역으로 들어가면 참여농가와 비참여농가 간 갈등이 노출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기도 하다. 참여농가와 비참여농가 간 갈등은 지역공동체를 분열시키는 쪽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현장의 목소리다. 이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는 방안이 마을단위경영체사업이다. 쌀들녘별경영체사업을 모두 마을단위로 전환시키자는 것은 아니다. 지역실정에 따라 들녘별경영체사업을 고수할 수도 있고, 마을단위경영체사업으로 전환할 수도 있다. 마을단위단위경영체사업은 쌀산업정책이라는 본연의 의미를 존속시키면서 마을공동체를 유지 발전시킬 수 있는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다. 일석이조가 아닐 수 없다.
  농업의 6차산업화 역시 농업정책과 농촌정책을 융복합할 수 있다. 6차산업화정책은 그동안 경영체 중심으로 추진돼 효과 측면에서도 한계를 노출할 수밖에 없다. 나 홀로보다는 조직화를 해야 한다. 특히 6차산업화는 지역특성과 지역공동체를 중심으로 이뤄질 때 시너지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는 점은 누구도 부인하기 어렵다. 사정이 이렇다면 농업정책과 농촌정책을 융복합해 일거양득의 효과를 누릴 수 있는 6차산업화정책이 시행돼야 하는 것은 당연하지 않을까?
  산업정책에 녹아드는 융복합 뿐만이 아니다. 농식품부 정책도 서로 다른 분야를 융복합할 때 효과가 배증되리라고 확신한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