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 통계는 현재를 비추는 거울이며, 미래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 주는 나침반으로 비유되곤 한다. 특히 산업에서 각종 정책 수립의 중요한 길잡이 역할을 하고 있어 그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최근 축산업계는 청탁금지법, 수입육 공세에 따른 자급률 하락, 구제역·AI와 같은 각종 질병 등으로 인해 최악의 상황으로 내몰리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통계청의 가축동향조사는 축산농가의 입식, 축산관측 등의 중요한 지표로 삼기도 한다.

그러나 통계청의 가축동향조사가 현실과 동떨어져 있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다. 최근 감사원의 결과에서도 통계청의 가축동향조사가 소이력제 자료상의 사육마릿수와 큰 편차가 있다고 지적했다. 최대 34만마리까지 편차가 발생, 이는 축산농가와 정책 수립에 혼란을 야기할 수도 있는 부분이다.

이러한 편차는 통계청은 표본조사를, 소이력제는 전국의 모든 소를 등록·관리해 전수조사를 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따라서 업계에선 전수조사를 하고 있는 소이력제의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통계청과 농식품부도 가축동향조사보다 소이력제가 실제 소 사육현황에 더 가깝다는 사실을 연구용역을 통해 확인한 바 있다. 그럼에도 소이력제 자료 활용에 대해 농식품부와 통계청 양 기관의 견해 차이로 지지부진한 상태를 이어 왔다. 그러는 동안 통계청을 바탕으로 하는 농촌경제연구원의 관측정보와 실제 한우가격의 격차가 확대되는 등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최근 농식품부와 통계청은 감사원의 지적에 따라 올해부터 축산관측 등에 소이력제를 적극 활용하고, 가축동향조사의 현장조사를 소이력제 자료로 대체하는 것에 합의했다.

부실한 통계는 부실한 산업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튼튼한 통계가 튼튼한 산업의 기본이라는 생각을 다시 한 번 새기고 양기관은 소이력제 활용을 더 이상 미루지 않아야 한다. 산업의 안정적인 발전을 위해 통계청의 가축동향조사가 보다 세밀하고 정확한 통계자료로 발전하길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