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에는 비전이 있지만 현재는 청년들이 진입키 위한 여건이 힘들어 정말 소신을 가지고 초기에 뛰어든 청년들만이 성공할 수 있다.” 농업계 융복합형 인재를 양성하는 이기원 서울대 교수의 말이다.

그의 말처럼 4~5년전 농업에 뛰어든 만나CEA, 코부기 등 농업과 ICT(정보통신기술) 혹은 건축 등을 융합한 4차 산업 혁명시대형 청년 귀농·귀촌인들이 최근 유명세를 타고 있다. 또한 최근 ‘청년 농업’을 주제로 한 강연과 박람회가 줄 지어 성행하면서 청년 ‘귀농·귀촌 붐’을 야기하고 있다. 충주의 한 청년농업인은 “주변을 보면 농업에 대한 갈망이 있던 친구들이 이같은 성공사례나 정부지원이 늘었다는 이야기를 들으며 댐이 터지듯 귀농·귀촌을 결심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고 전했다.

그러나 이같은 귀농·귀촌 붐은 사실 처음이 아니기에 역귀농 현상으로 번지지 않을까 우려스럽다. 우리나라는 10년 전 중장년층 귀농·귀촌이 붐을 일었지만 이들의 역귀농 사례는 지속적으로 속출하고 있다. 농식품부의 관련 통계에 따르면 당시 이들은 농촌생활에 관심(30.4%), 퇴직 후 노후대책(23.4%), 전문적으로 하고 싶어서(13.6%), 실직 및 사업 실패(12.3%), 가족농 승계(11.0%) 등의 이유로 귀농·귀촌을 선택했지만 역귀농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들의 소득은 2016년 기준 50만원 미만(16.5%), 100만원 미만(12.8%), 300만원 미만(23.3%), 300만원 이상(2.8%)이었으며, 소득이 전혀 없는 이는 27.3%로 가장 많았다.

이 때문에 현 정부는 ‘살기 좋은 농어촌 만들기’의 일환인 청년 귀농·귀촌 정책에 대해 행정거주지 상의 ‘인원 숫자’를 성과 지표로 삼을 것이 아니라 이전 귀농·귀촌 붐의 실패 이유를 명확히 진단, 역귀농을 답습하지 않기 위한 구조적 장치를 재빨리 마련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이제껏 ‘청년농업인 강연’ 및 박람회 등으로 도시에서 자란 청년들에게 농업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심어줬다면 이제는 청년들이 실제로 농촌에 정착할 수 있는 방안을 고심해야 한다. 청년의 문화를 이해하고 이들의 정주여건 구축을 위한 필요요소들을 정책공급자인 기성세대 공무원 자신이 아닌 정책수요자, 즉 청년의 시각에서 바라볼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다양한 단체의 목소리를 듣고 현명한 정책을 세워야 한다.

농촌의 인력난을 해소하고 우리나라의 농업을 지켜나가기 위해서는 우리의 농촌을 물려줄 청년 농업 오피니언 육성 및 청년들의 농촌정착을 돕는 것이 매우 시급하다. 정책공급자들과 기성세대의 절대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한 때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