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발생한 살충제 계란 사태로 식품안전에 대한 경각심이 한층 고조됐다. 농축산업계는 가뜩이나 소비침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소비자들의 막연한 불안까지 더해져 곤혹을 치렀다. 이에 관련한 제도를 다시 점검하고, 운용의 현실성 등에 대해서까지 되짚어 보고 있다. 이 과정에서 작물보호제(농약) 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는 점은 참으로 다행스럽다. 이번 국정감사에서도 작물보호제의 안전한 사용을 위해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곳곳에서 터져 나왔다. 작물보호제의 개발, 등록뿐만 아니라 유통과 사용에서도 각별한 주의는 물론 관리가 요구된다는 것이다.

작물보호제의 유통과 사용에서 관리가 어려운 가장 큰 이유로 꼽히는 부분은 통계 자료의 미흡이다. 작물보호제가 생산돼 출하된 자료는 있지만 어떤 식으로 판매가 돼 소비됐는가에 대해서는 불투명하다. 이 과정에서 밀수농약까지 더해지기 때문에 제대로 된 통계 자료가 나올리 만무하다. 과거에 비해서는 많이 나아졌다지만 아직까지도 사용자인 농업인의 관리가 허술한 부분도 있다. 관련 교육도 지속되고 있지만 여전히 허점투성이라는 게 업계의 자조다.

보다 체계적인 관리 시스템 구축이 필요한 이유다. 현재 우리나라는 다양한 부분에서 이력추적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다. 생물인 농축산물에도 적용되는 이력추적시스템이 공산품이 작물보호제에 적용되지 못할 이유가 없다. 생산부터 이력추적이 가능해지면 사용은 물론 사용 후 처리까지 확인이 가능해질 수 있을 것이다.

작물보호제의 중요성과 철저하고 안전한 관리를 위해서는 더 이상 유통인과 농업인에 대한 교육에만 의존해서는 안 된다. 체계적이고 자동화된 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과감한 투자와 노력이 필요한 때이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