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년대만 해도 1400만명에 달하던 농업종사 인구는 2016년 기준 300만명 이하로 크게 감소했으며 특히 이중 65세 이상의 농가비율은 53%로 농촌 인구 2명중 1명은 고령층인 것으로 나타나 고령화가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농촌지역의 인구감소와 고령화는 지속가능한 농업·농촌에 대한 가장 강력한 위협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농업·농촌에는 귀농·귀촌 인구의 증가 등으로 농업에 활로를 모색하려는 젊은 농부들, 청년농업인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는 반가운 소식도 들린다.

정부 역시 2025년까지 40세 미만 농가 경영주 비중을 1.8%까지 확대 한다는 계획으로 농업의 미래를 이끌 청년농업인 1만명을 육성하겠다고 한다. 이를 위해 청년창업농 가운데 영농의지와 발전가능성이 큰 1200명을 선정, 월 최대 100만원을 지원하는 정착지원금이나 농지자금, 교육 등 종합적인 지원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춰 청년농업인 관련 단체들도 속속 탄생하고 있다. 기존의 조직이나 관행을 뒤로하고 새로운 농업과 가공, 유통을 찾아 뛰쳐나온 ‘청년농업인연합회’가 대표적이며 농협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구축된 ‘청년여성농업인CEO중앙연합회’도 최근 많은 활동을 하고 있다. 여기에 농촌진흥청 소속 4-H연합회도 젊은 연령층으로 구성된 조직으로의 개편을 통해 ‘한국청년농업인연합회’로 개칭, 활동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이러한 젊은 조직들의 활성화는 우리 농업·농촌에 활력을 불어 넣고 청년일자리 문제까지 해소할 수 있는 신선한 바람으로 다가오고 있다. 다만 우려되는 것은 이러한 순수한 조직이 정치적으로 오용되고 분열되지 않을까하는 점에 있다.

이러한 청년농업인 조직이 후원기관의 예산지원이라는 명분으로 그 기관의 홍보수단으로 이용되고 자칫 조직의 본래 미션을 망각하고 꼭두각시 역할에 머물 수도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여기에 이러한 조직을 정치적으로 이용해 어느 누군가의 편익만을 위한 거수기로 전락할 수 도 있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또한 이러한 분위기는 청년농업인 조직간 갈등관계로 이어져 청년농업인들이 한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등 그동안 비판 해온 기성세대와 똑같은 모습으로 비춰질 수도 있다.  

정부의 정책적인 지원, 사회조직의 참여 등도 중요하지만 청년농업인 조직의 본래 목적달성을 위해서는 이러한 지원에만 전적으로 매달리지 않고 자율적인 조직운영이 가능토록 하는 자체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최소한의 지원에 국한하고 독립적인 조직운영이 가능할 때 청년농업인 조직의 올바른 성장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건전한 조직 운영은 청년농업인 조직간의 화합을 이끌어 내고 우리 농업·농촌의 미래를 이끌어 갈 주역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