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인 남북정상회담이 오늘 열린다.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 정착이라는 세기의 이슈 속에 전세계의 이목이 일제히 우리나라로 쏠렸다.

이번 정상회담은 냉전시대를 끝내고, 통일로 향하는 첫 발걸음이라는 점에서 모두를 설레게 하고 있다. 특히 남북간 통일은 지역과 체제의 경계를 허무는 의미 외에 경제적인 측면에서   서로의 장점을 결합해 폭발적인 시너지를 올릴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한국 경제에 ‘청신호’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오늘 정상회담을 시작으로 2010년 5·24 조치 이후 중단됐던 각 분야의 교류협력사업과 인도적 차원의 지원 등이 빠른 속도로 재개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벌써 발빠른 단체들이나 지자체별로 중단됐던 사업의 재개를 검토하기 시작했다.

농축수산업도 예외가 아니다. 북한의 식량문제 등이 여전히 심각한 상황인 것을 감안할 때 농축수산업의 협력은 상당한 성과가 기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같은 이유로 세계적인 투자 전문가 짐 로저스도 남한의 자본과 기술, 북한의 잘 훈련된 노동력을 결합할 때 통일농업은 엄청난 기회가 될 것으로 진단, 농업 분야 투자를 주창하고 있다. 그는 남과 북을 합쳤을 때 8000만명에 달하는 인구와 세계 최고의 근면성, 인접한 중국 시장 등 호재가 통일한국의 미래를 밝게 한다고 내다보고 있다. 10~20년 뒤면 농업이 세계 최고 산업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게 그의 주장이다.

실제 농축수산업분야의 교류협력 사업은 남과 북 모두에게 ‘득’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당장 인도적 차원의 지원이 재개될 시 직접적인 효과가 있을 것이다. 남한의 구조적인 과잉생산 구조가 북한의 식량난에 일정정도 기여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또 북한의 만성적인 식량문제를 해결하는 데 남한의 화학비료와 축산분뇨 지원 등이 상당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이 역시 현재 수요량을 초과하는 과잉생산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만큼 남한 입장에서는 새로운 호재가 될 게 분명하다.

축산분야의 협력도 상당한 시너지를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밀집사육으로 인한 문제를 해소하고 남한의 기술력을 접목해 새로운 모델을 구축해 나간다면 또 다른 경쟁력을 구축할 것으로 보인다. 

종자, 농기계, 농자재 등 관련 산업분야 역시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갈수록 문제가 심각해지는 농업분야 인력난 문제도 통일 농업이 실현되는 순간 해법을 찾게 될 것으로 보인다.

남북한 농업분야의 협력사업은 이외에도 우리가 상상하는 그 이상의 효과가 있을지도 모른다. 통일시대를 여는 오늘 통일 농업의 첫 발도 디뎌야 한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