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축수산업분야에도 4차 산업혁명 바람이 불면서 스마트 팜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스마트팜은 ICT(정보통신기술)를 온실이나 축사 등에 접목해 스마트폰이나 PC를 통해 원격·자동으로 작물과 가축의 생육환경을 관리하는 농장이다. 작물의 생육정보와 환경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적의 생육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노동력과 에너지, 양분 등을 기존보다 덜 투입하고도 생산성과 품질을 높일 수 있다.

지금처럼 농장에 직접 가보지 않아도 휴대폰으로 내 농장의 온도와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 등 농장 상황을 언제든 체크해 볼 수 있고, 그에 따른 조치도 곧바로 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스마트팜은 좀처럼 쉽지 않은, 농업분야 혁신성장의 새로운 길라잡이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실제로 한국농산업조사연구소에서 2017년에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스마트 팜 보급이 확산되면서 생산성은 약 30%증가한 반면 고용노동비는 8.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농업에 관심있는 젊고 유능한 인재들의 관심을 유도, 정체상태인 농업분야에 새로운 활력을 불러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팜’이 농업분야의 혁신성장을 견인할 대표주자라는 데는 생각을 같이하지만 아직 실질적인 성과가 많지 않은 만큼 선제적으로 추진해야 할 과제가 적지 않다.

이 사업을 구체적으로 실현시킬 수 있는 전문인력 양성과 스마트 팜 기기에 대한 품질문제와 A/S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적지 않은 상황이다. 또 기기 공급회사마다 규격과 기능이 달라 이를 규격화, 표준화하는 문제도 해결해야 한다. 이 뿐인가. 스마트 팜을 운영할 수 있는 민간의 주체 역량도 아직 성숙되지 않았다. 

문재인 대통령도 지난 17일 열린 ‘대한민국 혁신성장 보고대회’에서 “혁신성장에 대해 강조하고 싶은 것은 민간과 정부의 역할 분담”이라고 말하고 “혁신성장의 주역은 민간과 중소기업으로 정부는 민간의 혁신 역량이 집중 될 수 있도록 산업 생태계 기반을 조성하고 기술개발자금 지원, 규제혁신 등 정책적 지원을 하는 ‘서포트 타워’역할을 잘 해 달라”고 주문했다. 

어느 정책이나 마찬가지이겠지만 ‘스마트팜’역시 전문인력과 인프라 등 산업 생태계 구축없이는 성공하기 힘들다. 농업분야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기대되는 스마트팜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눈에 보이는 투자보다 주체 역량을 강화시켜 자발적으로 성장해 나갈 수 있는 토대를 구축해야 한다는 것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