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 쌀쌀하기만 하던 쌀 주변 분위기가 문재인 정부 출범이후 달라졌다. 지난해 봄만 해도  80kg 기준 13만원 밑으로 추락해 20년 전 수준에 그쳤던 산지 쌀값이 지난 15일 기준 17만6500원대로 높아졌다. 1년 전 보다 38.4%가 올랐다. ‘쌀값이 올라 부담이 된다’는 도시 영세자영업자를 두둔하는 언론보도도 나올 정도다. 그동안 추락할 대로 추락했던 쌀값이 정상적인 수준으로 찾아가는 양상이다.

작금의 상황은 정부의 선제적인 대책 결과이다. 문재인 정부 농정은 그동안 쌀값안정에 초점이 맞춰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정부는 지난해 쌀값안정을 위해 수확기 선제적으로 37만 톤의 쌀을 시장에서 격리시켰다. 여기에다 조금만 오르면 정부 보유분을 방출하던 종전의 구태의연한 방식도 과감하게 단절했다. 쌀 재배면적을 줄이기 위해 논에 다른 작물을 심는 정책도 올해 진행되고 있다. 정부의 확고한 쌀값안정 의지와 신뢰의 결과물이다.

힘들게 초석을 놓은 쌀산업 안정! 지금부터가 중요하다. 앞으로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따라 국내 쌀산업은 안정을 지속할 수도 있고, 반대로 작년 이전 상황으로 되돌아갈 수도 있기 때문이다. 수급안정이야말로 쌀산업 안정과 발전의 핵심축이다. 문재인 정부 들어 쌀값이 정상수준으로 찾아가고 있는 것도 시장격리 등을 통해 수급을 안정시킨 결과이다.

수급안정을 위해서는 육종에서부터 재배, 도정, 가공식품개발까지 철저하게 소비자 지향적이어야 한다. 먼저, 육종기관은 용도별로 맞춤형 쌀 개발에 나서야 한다. 식탁용은 그동안 해온 것처럼 고품질 쌀 육성에 더욱 박차를 가해야 한다. 특히 바로 지은 밥일 때만이 아니라 찬밥인 경우에도 맛이 유지되는 품종을 개발해 보급해야 한다. 국내 가구의 절반이 넘는 1~2인 가구가 때마다 밥을 새로 지어 먹을 수는 없다. 밥을 지어 보관했다가 먹어도 밥맛이 좋아야하는 이유이다. 3인 이상 다가구 소비행태 역시 빠른 속도로 1~2인 가구를 따라가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더더욱 그렇다. 앞으로 늘어날 쌀가공식품에 적합한 품종도 시급하게 개발해 쌀가공식품산업을 뒷받침해줘야 한다. 식품가공용 쌀은 제품특성에 적합해야하고, 단위당 생산성도 높아서 원료가격을 낮춰줄 수 있어야 한다.

벼 재배농가는 철저하게 고품질 쌀 생산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지역특성에 맞는 고품질 품종을 선택해야 하고, 재배과정에서도 고품질 쌀이 생산되도록 비료 등을 적절하게 줘야 한다. 개방화시대를 맞아 우리 쌀산업이 고품질 쌀 생산에서 활로를 찾아야 한다는 점은 이미 다 알려진 사실이다. 하지만 아직도 많은 수의 농가들이 제도의 허점을 교묘하게 이용해 밥맛이 떨어지는 다수확 품종을 재배하고 있다. 농가단위에서 가장 먼저 실행해야할 과제가 바로 고품질 벼 품종 선택과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재배법 실행이다.

최근 소비트렌드 변화는 쌀가공식품산업에 새로운 기회요인으로 다가오고 있다. 쌀가공식품기업들은 소비자 기호와 니즈에 맞춘 다양하면서도 섭취에 편리하고 건강식에 맛도 좋은 제품 개발에 나서야 한다. 정부도 다양한 쌀가공식품 개발을 위한 R&D(연구 개발)를 적극 지원해야 한다.

아무리 좋은 쌀과 쌀가공식품이 개발되더라도 소비자가 모르면 도루묵이다. 쌀과 쌀가공식품에 대한 정보를 소비자에게 정확하고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쌀자조금도 시급히 조성해야 한다.

쌀산업이 안정을 찾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방안은 다 나와 있다. 이제는 실행이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