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이 이 시대 화두다. 문재인 정부 들어 청년정책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청년정책은 출산, 육아·보육과 함께 미래를 준비하는 가장 소중하고 의미 있는 투자다. 아이들이, 청년이 없는 나라는 미래가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농업·농촌 역시 마찬가지다. 농업·농촌은 그야말로 후계인력에 있어서 가장 심각한 지경에 빠져 있다.

지난달 초 민간 업체 주관으로 서울 aT센터에서 열린 ‘전국 방방곡곡 저마다의 농라이프를 만드는 청년들이 함께 하는 청년 농업농촌 정책파티:100인의 식탁’! 이 자리에서 나온 청년정책의 과제는 주거지, 바로 농업에 투신을 할 청년들이 살 ‘집’이었다. 귀농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거처할 집을 마련하지 못해 계획을 포기한 청년 이야기도 전해졌다. 주거지를 찾는데 난관에 빠졌던 한 청년농(?)은 아예 집을 짓는 아이템을 농촌에서 사업화한 사례를 소개하기도 했다.  며칠 전, 몇몇 청년농들과 한 시간 넘게 이런저런 대화를 나눌 기회가 있었다. 그들이 당면한 문제는 또 달랐다. 이들도 위에 언급한 ‘청년 농업농촌 정책파티:100인의 식탁’ 행사에 참석해 의견을 나눈 청년농이다. 주거문제를 해결하고 농업에 투신한 청년농들이 겪는 어려움은 ‘필요한 정보가 어디에 있는지를 모른다’는 점이었다.  이들은 귀농교육을 받았다. 하지만 그게 전부가 아니었다. 귀농교육은 품목 중심 농사기술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농업을 하려면 농사기술만으로는 안 되기 때문이다. 폭염과 가뭄에 시달린 올여름 당장 가뭄대책이 필요한데, 어디에다 요청을 해 대응방안을 찾아야할지 답답한 실정이라는 게 이들의 하소연이었다. 이 같은 내용은 사실 정보라고 할 수도 없는 가장 기초적인 내용이지만, 모르는 청년농에게는 큰 장벽이 아닐 수 없다. 이들은 그동안 겪은 고충을 토로하면서 ‘맞춤형 원스톱 정보서비스 시스템’을 갈망했다. 이들은 “어떤 정보가 어디에 있는지만 알아도 속이 시원하겠다”는 말도 덧붙였다.

우리 농정에 맞춤형이라는 단어가 등장한 것은 10년도 더 된 일이다. 우루과이라운드협상을 통해 농산물시장 개방이 기정사실화하면서 농정에 규모화·전업화가 최대 화두로 등장을 했다. 그 이후 선택과 집중이 농정기조로 자리를 잡았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맞춤형 농정이 강조되기 시작했다. 그게 바로 2000년대 중반이다. 농림부가 맞춤형 농정을 추진하기 위해 ‘맞춤형 농정팀’을 만든 게 2006년 봄이다. 농림부는 ‘원스톱 정보서비스’도 동시에 들고 나왔다. 농가나 학계가 정부에 맞춤형 농정을 요구한 게 아니다. 농림부가 먼저 맞춤형 농정을 들고 나온 게 12년 전 일이다. 그리고 그 이후 이런저런 정보통합시스템이 선을 보이기도 했다. 맞춤형 농정을 위한 농업경영체 DB시스템도 도입돼 매년 많은 예산과 인력을 투입해 업그레이드되고 있다. 그런데 지금도 현장에서는 맞춤형 원스톱 서비스가 있었으면 좋겠다는 바람이다. 어찌된 일인가?

정부가 제공하는 농정정보는 누구에게나 차별 없이 전달되고, 누구나 손쉽게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그동안 구축돼 제공되는 정보서비스 가운데는 민간인은 접근할 수 없는 것도 있고, 새로운 정보로 업그레이드가 안 돼 사실상 무용지물인 것도 없지 않다. 농식품부 공원원들과 대화를 나누다 보면 “그 정보는 OOO에 있다”는 말을 가끔 듣는다. 하지만 민간은 접근할 수 없는 정보시스템을 지칭하곤 했다. 

정보화시대를 넘어 4차 산업혁명을 언급하는 시대다. 정보서비스 사각지대가 있어서야 되겠는가?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