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김동호 기자] 

새해에 들어서며 오징어 미성어인 ‘총알오징어’의 어획량이 급증하며 오징어도 상업적인 멸종에 이를 수 있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2000년대 초반 20만톤에 이르던 오징어 어획량은 2016년 12만여톤, 2017년 8만여톤을 기록한데 이어 지난해에는 5만톤 이하로 떨어졌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오징어 어획량이 급격히 감소하면서 오징어 가격 역시 급격히 상승하고 있다. aT(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농산물유통정보에 따르면 2016년 1월 2300원 수준이던 물오징어 중품 1마리의 소매가격은 지난해 4300원 수준까지 오른데 이어 이달에는 5500원 선을 기록하고 있다.
 

오징어 가격이 상승하자 어업인들은 미성어조차 무분별하게 어획했고, 소비자들은 배려없이 소비했으며 정부는 뒤늦게 금지체장을 상향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생산과 소비, 정책 모두 수산자원의 씨를 말리는 충분조건을 갖추고 있는 것이다.
 

이제부터라도 금지체장을 현실화하는 등 보다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현재 국내 주요 대중성어종의 금지체장은 100마리중 1마리가 산란을 할 수 있는 최소성숙체장을 기준으로 설정돼 있다. 
 

이같은 기준으로는 수산자원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담보할 수 없는 만큼 100마리 중 50마리가 산란을 할 수 있는 크기인 군성숙체장까지 금지체장을 높여야 한다. 어린 물고기를 보호하지 않는다면 우리 수산자원은 이내 고갈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특히 어획기술이 빠른 속도로 진보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더욱 그렇다.
 

생산자와 소비자, 정부가 제때 대책을 마련하지 않으면 제2의, 제3의 명태는 언제든지 나올 수 있다. 우리 수산자원을 보호하기 위한 모두의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