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농수축산신문 ] 

여성의 사회진출이 늘어나면서 사회 전반적으로 여성의 권익이 신장되고 있지만 여성농업인에 대한 정책적 배려나 직업적 지위 등은 여전히 열악한 상황이다.    

   

농촌지역에서 여성농업인은 농사일을 비롯한 각 분야에서 상당한 역할을 도맡아 하고 있다. 실제 농림축산식품부가 최근 발표한 2018년 여성농업인 실태조사결과에 따르면 여성농업인이 농사일의 50%이상 담당하는 비중은 축산 67.1%, 노지채소 65%, 화훼·특작 63.3%, 과수 50.1%, 일반 밭작물 49.5%, 논벼 47.7%로 나타났다. 사실상 농사일의 절반 이상을 여성농업인이 하고 있는 셈이다.
 

여성농업인은 여기에 가사노동과 육아까지 책임지며, 사실상 1인 3역을 다해내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여성농업인의 직업적 지위와 경영주 인식비율은 턱없이 낮은 실정이다.

이번조사에서도 여성농업인의 지위를 남성농업인보다 낮게 인식하는 비율은 81.1%에 달했고, 여성농업인의 직업적 지위를 경영주로 인식하는 비율은 평균 38.4%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여성농업인 정책의 인지도는 6.1%~39.4%로 낮게 나타났으며, 정책참여도도 인지도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농번기 마을공동 밥상 사업을 제외하면 참여율은 고작 0.7%~12.6%에 그치고 있는 상황이다. 
 

농식품부는 이에 따라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여성농업인 정책을 전담하는 ‘농촌여성정책팀’을 신설, 여성 농업인 정책 전담인력을 2면에서 6명으로 확충하는 내용을 담은 ‘농림축산식품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 개정안’을 최근 입법예고했다.
 

그동안 여성농업인들이 농촌에서 실질적인 경영주체로서 역할을 해 왔음에도 제대로 된 지위나 정책적 배려를 받지 못했던 만큼 이번 전담팀 신설을 계기로 보다 구체적인 정책들이 추진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를 통해 여성농업인이 경영주체로서 농업 경영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여성농업인들의 농촌 사회 진출도 제도적으로 확대해 나가야 할 것이다. 아울러 여성 농업인들이 이중, 삼중고에 시달리지 않도록 육아와 보육시설에 대한 획기적인 정책 대안도 강구해 나가야 할 것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1998년부터 10여년 동안 여성정책담당관을 운영한 바 있었지만 이후 몇 차례의 조직개편 과정에서 다른 과와 흡수 통합되면서 여성농업인 정책이 후퇴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이번 농촌여성정책팀 신설을 통해 여성농업인 정책이 실질적인 성과를 내줄 것을 주문한다. 여성농업인들이 농촌사회에서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정책적인 지원을 기울이는 것은 우리 농업 전반의 경쟁력을 제고하는 길이라는 점은 다시한번 강조한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