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 소비가 앞으로 10년간 연평균 1.9%씩 감소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지금도 공급과잉구조로 해마다 곤혹을 치르고 있는 농업계로서는 좋지 않은 소식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최근 ‘소비 변화에 대응한 식량정책 개선방안’연구를 기반으로 계량분석, 일본과 대만의 소비량 추이, 세대와 연령효과를 고려하는 방식을 통해 쌀 소비량을 전망해 본 결과 앞으로 1인당 쌀 소비량은 향후 10년간 연평균 1.9%씩 감소할 것으로 예측했다. 
 

실제 1인당 쌀 소비량은 1970년 136.4kg으로 최고치를 기록했다가 1980년부터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감소폭은 1980년대 1.0%, 1990년대 2.3%, 2000년대 2.6%까지 확대됐으며, 2010년대 들어 2.3%로 소폭 둔화됐다. 

 

이같이 쌀소비가 줄어들고 있는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아침밥을 먹는 비율이 점차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2016년 기준으로 점심과 저녁의 쌀 소비량 감소율은 3%대였으나 아침 소비량 감소율은 6.4%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0대에서 40대까지의 아침 쌀 소비량 감소율은 점심과 저녁의 쌀 소비량 감소율의 두 배 이상으로 조사됐다.

 

여성의 사회 진출이 늘어나고, 바쁜 일상속에서 예전처럼 아침밥을 챙겨주기도, 챙겨먹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대다수의 현대인들은 아침밥 대신 빵이나 토스트, 시리얼이나 쉐이크 등을 챙겨 먹는다. 이와 함께 1인 가구 증가와 서구화된 식생활, 간편식 선호 경향 등도 쌀밥소비를 줄어들게 하는 주요 원인이다.  
 

그나마 다행스러운 것은 가공용 쌀 소비량이 연 평균 3%이상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쌀 가공품은 글루텐프리제품을 선호하는 등 건강트렌드 확산으로 전세계적으로도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쌀밥소비가 줄어들고 있는 현재의 추세를 꺾기는 쉬어보이지 않는다. 그렇다면 새로운 수요를 창출할 수 있는 틈새를 집중 공략해야 할 것이다. 소비자들이 원하는 상품 수요를 찾아 쌀 가공시장을 지속적으로 늘려나가야 한다. 아침밥 대체 시장을 역으로 겨냥해 아침에 간단하게 먹을 수 있는 쌀 가공식품을 다양하게 개발하고 홍보해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논타작물재배지원사업을 지속 추진, 논의 형상은 유지하되 벼 재배면적은 줄이는 정책도 동시에 추진해나가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