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홍정민 기자] 


비무장지대(DMZ) 바깥 남방한계선을 경계로 남쪽 5~20km에 있는 민간인출입통제선(이하 민통선) 지역에서 지난 12일 야생멧돼지의 아프리카돼지열병(ASF) 감염이 확인됐다. 경기 연천과 강원 철원 지역에서 ASF가 야생멧돼지에서 연이어 확인된 것이다. 
 

ASF는 지난 5월 북한에서 이미 발생했고, 국내 수의업계는 연내 우리나라에도 ASF가 전파, 발생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국경검역과 농장방역이 강화되면서 특히 남은음식물과 야생멧돼지는 주요 전파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끊임없이 제기됐다. 
 

실제로 북한의 야생멧돼지로부터 혹시 모를 ASF 전파를 차단하기 위해 대한한돈협회는 그동안 줄기차게 멧돼지 개체수 조절과 소탕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펼쳤다.

더불어 민통선에서 잇따라 ASF 감염 야생멧돼지가 확인되면서 야생멧돼지를 통한 전파 가능성을 낮게 봤던 환경부 등 정부의 대응이 향후 논란이 될 것으로 보인다.
 

ASF의 국내 전파와 확산 등 발생 이유는 결국 최종 역학조사가 나와야 추정해 볼 수 있는 것이겠지만 민통선 야생멧돼지 폐사체에서 ASF 바이러스가 나온 것은 쉽게 넘길 수 없는 부분임에는 분명하다.
 

앞으로 야생멧돼지에 대한 정부의 특단의 대책이 실제 현장에서 얼마나 제대로 구현되느냐가 ASF의 추가 확산을 막는데 중요할 것이다.

더 큰 문제는 ASF가 야생멧돼지에서도 확인되면서 이제는 ASF 방역상황이 장기전에 돌입했다는 점이다. 
 

이와 관련해 세계농업 2019년 9월호에서 유럽의 야생멧돼지 ASF 발생상황을 살펴보면 벨기에는 지난해와 올해 각각 163건, 417건이 발생했고, 에스토니아 234건, 45건, 헝가리 138건, 586건, 폴란드 2443건, 937건, 불가리아 5건, 11건, 라트비아 685건, 125건, 리투아니아 1446건, 182건, 루마니아 182건, 207건 등을 나타냈다.
 

이들 국가 중 체코는 2017년과 지난해 각각 202건과 28건이 발생했지만 올해는 발생이 없어 주목된다. 체코는 2014년부터 주변국에서 ASF가 발생하자 영토내에서 발견된 모든 야생멧돼지 사체에 대해 ASF 검사를 실시했고, 야생멧돼지 수렵자와 사체 발견자에 대해 2000코루나(약 10만원)를 보상하고 있다고 한다. 발견된 사체와 사냥된 야생멧돼지는 모두 검사 후 렌더링 공장에서 폐기되고 있다. 또한 국경방어를 위해 냄새기피제와 전기울타리를 설치, 2017년 7월 긴급방역대책에 따라 발생지역을 중심으로 32km에 걸쳐 10개의 전기울타리와 22km의 화학적 냄새 장벽을 설치했다.
 

특히 벨기에의 경우 올 연말까지 모든 야생멧돼지를 제거한다는 ASF 방어정책을 세운 것으로 전해지고 있고, 독일은 만약 ASF가 발생할 경우 약 30만명에 달하는 수렵가를 동원, 야생멧돼지를 수렵하도록 제도를 마련한 상태이다. 유럽 각국이 야생멧돼지 관리에 상당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셈이다.
 

우리도 최근 발생·완충·경계·차단지역을 설정해 방역에 신경을 쓰고 있다. 하지만 야생멧돼지에서 ASF가 발생하면서 ASF 대응 장기화는 불가피해졌으며, 앞으로는 방역과 더불어 관련 산업 피해 최소화 대책 등이 종합적으로 가동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야생멧돼지의 습성을 잘 따져 현장감 있는 대응책을 실행하는 것에 더해 제대로 된 거점소독시설 운영과 생축차량 관리, 도축장 출구 세척·소독 등도 필요하겠다. 또한 매뉴얼에 따른 꼼꼼한 세척·소독 등 농장단위 차단방역도 더 중요해졌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