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품목 지원하고 기술연구 강화해야
GSP 후속사업서
품종개발 역량강화와
종자산업 혁신기반 조성 ‘투트랙 전략’

[농수축산신문=서정학 기자]

(상)종료 2년 앞두고…성과는
(하)개선과제와 포스트GSP사업방향은

▲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10월 21일 서울 엘타워에서 ‘종자분야 신규 R&D 사업 공청회’를 열고 GSP 후속사업에 관한 종자업계 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했다.

골든시드프로젝트(GSP)의 사업종료를 2년여 앞둔 시점에서 후속사업에 관한 종자업계의 관심이 크다. 이에 농림축산식품부는 그간 공청회를 통해 GSP 후속사업에 대한 업계의 의견을 수렴해왔다. 종자업계가 말하는 GSP사업의 개선과제와 후속사업의 방향을 짚어봤다.

# 지원 품목 제한…‘공급자 위주’ 연구 진행돼

종자업계에선 그간 GSP사업의 지원 품목이 한정돼 있는 것에 문제를 제기해왔다.

GSP사업은 수출전략형 10품종(고추·배추·무·수박·넙치·전복·바리과·벼·감자·옥수수)과 수입대체형 10품종(양배추·양파·토마토·버섯·백합·감귤·파프리카·김·종돈·종계)의 연구 등을 지원한다. 수출전략형은 수출 시장 개척 가능성이 높은 품목 위주로, 수입대체형은 수입의존도가 높은 품목 위주로 선정됐다. 사업 예산 규모와 육종기간 등도 고려됐다.

이처럼 지원 품목이 정해져 있다 보니 신규 품목의 진입이 제한된다는 비판이 있어왔다. 사업기간이 지나면서 글로벌 종자시장에서의 수요도 변하는데, 이에 대해 탄력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공급자 위주의 연구지원이 이뤄진다는 비판도 있었다.

# 신육종기술 및 기반기술 지원 필요…연구 연계·협력 미흡

그간의 GSP사업은 새로운 육종기술을 도입하고 발전시키는 데는 다소 부족했다는 반성의 목소리도 있다.

GSP사업이 추진된 2012년부터 지금까지 국외에선 유전자편집 기술 등을 활용한 신육종기술과 분자마커를 활용한 육종기반기술 등이 빠르게 발전해왔다. 이는 주로 신품종 개발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크게 줄이는 신기술이다. 그러나 GSP사업은 이보다는 전통육종 기술에 초점을 맞춰 추진되면서 육종기술의 발전보다 현상을 유지하는 한계를 보였다는 것이다.

아울러 부·청 간 연구협력체계 구축이 미흡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GSP사업은 농식품부와 해양수산부, 농촌진흥청, 산림청과 5개 사업단이 운영한다. 그런데 각 부·청이 다루는 종자의 범위가 작물부터 종돈, 수산 종자까지 광범위한 이유 등으로 부·청 간 연구협력으로 나타날 수 있는 시너지 효과가 부족하고, 연구과제도 연계보단 분절돼 진행된다는 지적이 GSP사업 평가 중에 제기됐다.

# 포스트 GSP, 자유 응모과제 실시·기반기술 강화 등 준비

농식품부는 GSP 후속사업에 신규품목 지원 방안과 기반기술 연구 강화 등의 내용을 담아 예비타당성조사 심사를 준비할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지난 10월 21일 서울 엘타워에서 ‘종자분야 신규 R&D 사업 공청회’를 열고 GSP 후속사업 예비타당성조사 준비를 위한 기획보고서안을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GSP 후속사업은 ‘지속가능한 종자산업 성장산업화 견인’이라는 비전 아래 ‘글로벌 수요 맞춤형 품종개발과 고부가 미래시장 선도형 품종 조기 사업화 실현’을 목표로 준비될 계획이다.

내역사업은 ‘품종개발 역량강화 및 사업화’와 ‘종자산업 혁신기반조성’ 등 두 가지 목표를 갖고 투트랙으로 추진하겠다는 방향을 잡았다. 종자산업 혁신기반조성 내역사업으로는 그간 미진했던 신육종기술과 기반기술 등 육종기간 단축과 종자 기능성 특화에 주력한 연구 추진 내용이 담길 예정이다.

또한 농식품부는 기존 GSP사업 지원품목 중 일부는 ‘이어달리기’를 하고 수요조사를 바탕으로 새로운 품목을 지원하는 방안도 찾겠다는 입장이다. 현재까진 당근·오이·호박·멜론·파·호박·과수 무병묘·산림버섯 등이 신규 지원품목 물망에 올라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식품부는 지원품목의 선정이나 구체적인 사업계획은 추후 지속적으로 검토·보완해 나간다는 입장이다. 이와 함께 GSP 후속사업에 ‘자유 응모과제’를 추가해 지정된 지원품목 외에도 연구 수요와 미래가치가 높은 품목과 기술을 추가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김민욱 농식품부 종자생면산업과장은 “GSP 후속사업에는 자유 응모과제를 병행해 수요와 산업화가능성이 높은 신규 품목과 기술을 지원할 수 있도록 기획하고 있다”며 “종자업계의 의견을 수렴해 예비타당성조사 심사를 준비해 갈 것”이라고 밝혔다. <끝>

관련기사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