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안희경 기자] 

오리사육제한, 일명 휴지기제가 올해로 3번째 시행에 들어갔다.
 

2017년 평창 동계올림픽을 대비해 시범적으로 실시했던 오리사육제한이 매년 겨울 별도의 논의없이 시행되면서 정례화되고 있는 것이다. 국가재난에 준하는 질병을 막기 위한 정책이라고 하지만, 농가들에게 상응하는 보상금을 지급한다고는 하지만 민주주의 시대에 이런 일방적 정책이 과연 맞는 건인지 의문이 사라지질 않는다.
 

매년 휴지기제 시행을 앞두고 한국오리협회를 중심으로 한 생산자 단체가 성명서를 발표하고 지속적으로 정부에 개선을 요구하고 있지만 3년째 별다른 변화 없이 일부 지역의 산업이, 한 농가의 생업이 멈추는 것이다.
 

매년, 매번, 근본적인 대책을 세우지 않고 사육을 금지시켜 질병을 막는 것이 전근대적인 방식이라고 지적하고 있지만 정부는 휴지기제의 경제적 이득을 강조하면서 성공적인 정책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 같다. 오리협회를 중심으로 한 성명서 발표와 농가들의 아우성은 이제 몇 번째인지 모를 정도로 되풀이 되고만 있다.
 

다행인지 불행인지 AI(조류인플루엔자)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휴지기제는 실제로 성공적인 정책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그런데 그 사이에 오리산업은 악화일로의 길에서 뼈를 깍는 고통으로 재활의 자생적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정책으로 금지된 오리사육으로 인한 만성적인 수급 불균형과 가격 불안은 최근 훈제오리 600g 한 마리에 6000원 정도로 생산비에 밑도는 소비자 가격을 형성하고 있다. 햄보다 싼 훈제오리가 매대에 심심찮게 올라오고 있다.
 

정책으로 인해 어려워진 오리업계는 스스로 재고소진을 위한 대대적 가격할인에 돌입하며 재생을 위한 적자를 자처하고 있다. 왜 오리업계만 이렇듯 고통을 받아야 하는가. 정책당국의 오리휴지기제에 대한 고민과 이로 인한 정책 개선은 왜 전혀 이뤄지지 않는 것인가.
 

AI가 발생하지 않고, 오리업계 스스로의 노력으로 오리산업이 안정되면 정부는 두 마리 토끼를 잡았다고 자화자찬 할 것인가. 그 사이에 흘린 오리산업 종사자들의 피눈물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