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박유신 기자] 

올해 농정의 중요 과제중 하나는 산지유통주체의 소비지시장 지배력 강화가 될 듯하다.

 

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지난 연말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올해 농정 구상을 밝히며 농산물유통의 근본적인 해결 방안을 찾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 해결 방안으로 산지공판장과 산지유통센터(APC)의 역할 확대를 꼽았다. 산지공판장과 APC의 거래비중이 소비지시장에 영향을 줄 수 있을 정도로 높여야 한다는 게 김 장관의 소신이다.
 

이를 반증하듯 김 장관은 지난달 20일 안동농협과 서안동농협 산지공판장을 직접 방문해 “산지공판장을 활성화하면 가락시장 의존도가 완화돼 농산물 가격이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이후 김 장관의 의지는 신년사에서 보다 확실하게 나타났다. 올해 농정과제로 공익직불제에 이어 두 번째로 농산물 가격 급등락 최소화를 위해 수도권과 도매시장 중심의 농산물 유통구조에서 벗어날 것임을 강조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양파, 마늘 등의 가격 폭락사태를 겪으며 당시 산지의 사전적 수급조절 미흡과 도매시장에 출하물량이 일시 집중되면서 가격하락을 더욱 부채질 했다는 인식의 발로가 있었던 듯 하다.
 

농산물 산지유통은 지역조합, 조합공동사업법인, 연합사업단 등 농협조직과 농업법인, 개별농업인 등 다양한 주체가 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들 산지유통 주체들의 경쟁력은 농업인의 안정적 판로 확보와 소득 창출과 직결되고 건전한 농산물유통 생태계를 조성하는 기초가 된다.

 

따라서 농산물유통환경 변화에 대응하고 영세한 생산구조에서 비롯된 거래교섭력의 열세를 극복하기 위해선 조직화·규모화·전문화 등을 통해 산지공판장이나 APC와 같은 산지유통 주체의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물론 정부도 이같은 중요성을 인식해 1992년부터 APC 설치 지원을 추진, 2018년 기준 전국적으로 400여개의 APC가 건립돼 있고 취급액이 100억원 이상인 조직도 71개소나 생겼다. 통합 마케팅조직 수도 2005년 9개소에서 2018년 114개소로 증가했다.
 

분명 괄목할만한 성과임은 분명하나 아직까지도 갈 길이 먼 것이 현실이다. 여전히 전국적으로 산지 조직화가 미흡해 도매시장의 농산물유통 비중이 가장 크며, 채소류는 40% 가량이 도매시장을 통해 유통되고 있다. 
 

특히 산지유통주체들은 농가 고령화, 농촌인구의 감소, 최저임금 인상, 주52시간제 등 여건 변화로 경영상의 어려움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농협 APC만 해도 절반 가량 적자 상태라 한다. 산지에서 APC를 경유하는 농산물 비중은 갈수록 줄어 36%에 불과하고 나머지 64%는 농가개별판매로 이뤄지고 있다. 이대로라면 APC가 농산물유통의 중추적인 역할 수행은 고사하고 존립 자체마저 어렵다는 하소연이 이어지고 있다.
 

농산물유통에 있어 산지공판장과 APC의 역할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새해 김 장관의 의지만큼 정부는 산지유통주체 육성을 위해 제도적·정책적 대안을 제시하고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