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이남종 기자] 

일반국민들이 농촌에 귀향해 사는 것을 꺼려하는 근본적 이유는 무엇일까. 최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분석한 주요요인으로는 사회복지, 의료서비스, 교육문제, 교통문제, 정주조건, 안전 상의 문제 등이 꼽히고 있다. 

 

분야별로 보면 농촌복지에서는 농촌지역에서 할 수 있는 문화·여가프로그램의 부족과 독거노인의 돌봄서비스, 장애인 복지 미흡을 들 수 있다.

농촌이 도시에 비해 의료시설이 적고 원거리에 있기 때문에 평소 접근성과 더불어 응급시 빠르게 대체할 수 없다는 점에서 농촌의료문제가 존재한다.

농촌교육분야에서는 아동 교육시설 부족과 농촌에 거주하는 학부모 입장에서는 아동 교육과 방과후 교육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농촌교통문제로는 대중교통의 운행횟수와 노선 등의 문제 특히 학교통학 문제가 크다.

농촌에너지 문제도 있다. 농촌주택의 경우 단열, 보온장치, 에너지 효율성이 등이 낮아 도시 주택에 비해 냉난방비가 많이 드는 경제적 문제까지 존재한다.

농촌정주분야는 농촌의 상하수도문제 쓰레기 처리문제, 생필품 구입문제가, 농촌안전문제에서는 범죄 문제 농작업사고발생, 화재발생시 대처 문제 등이 도시민이 귀촌을 꺼리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그렇다면 이러한 열악한 농촌환경을 개선하고 이를 통해 다시 활성화된 농촌으로 탈 바꿈할 방안은 없을까?
 

이에 대한 대안으로 최근 ‘스마트농촌’에 대한 개념적립과 이에 대한 정책논의가 이뤄지고 있다는 점은 매우 고무적이다.
 

스마트농촌이란 4차 산업혁명기술의 핵심인 정보통신기술(ICT),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드론, 빅데이터, 5G 등을 적용해 농촌의 문제점을 해결, 혁신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일부 학자들은 역설적으로 농촌이 도시보다 ‘스마트화’ 적용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한다. 경영학에는 립플로그(Leap flog)로 불리는 분야가 있는 데 기존의 여러 단계 기술을 한꺼번에 뛰어넘는 다는 개념으로 도시보다는 농촌지역이 이러한 기술의 적용이 용이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적용해 농촌 교육분야에는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등의 교육을 제공받고, 교육과정 정보 등을 빅데이터로 저장, 축적된 빅데이터를 AI가 분석해 개별학생에게 맞춤 학습을 제공하고 교사나 보호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게 되는 스마트농촌시대를 연다는 것이다. 농촌교통의 경우 유럽이나 미국 등 선진국에서 적용하기 시작한 농촌형 인공지능 자율주행 대중교통시대가 기대된다. 원격의료시스템 도입을 통해 농촌지역환자의 문진과 원격진료, 처방과 진단 등의 의료체계구축도 스마트농촌을 앞당기게 될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이상적인 농촌의 모습이 당장 실현되기는 어렵다. 이를 위한 자본, 즉 공공·민간부문의 투자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여기에 미래 스마트농촌의 인프라 구축도 요구되며 확산을 위한 각 분야별 거버넌스 체계구축도 요구된다.
 

현재 우리나라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농림축산식품부가 이제 막 시범사업을 시작한 단계에 있다. 이를 더욱 확대시켜 범정부차원의 스마트농촌 프로젝트에 돌입해야할 시점이다.   
 

스마트농촌은 더 이상 이상향으로만 끝나는 정책으로 남아서는 안된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