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박유신 기자]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국민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이 59.2kg이라 한다. 전년보다 1.8kg이 감소했다. 30년 전인 1989년 133kg에 달했던 쌀 소비량이 점점 떨어지기 시작해 2012년(69.8kg) 60kg대로 접어들더니 불과 8년만에 50kg대로 떨어졌다.

특히 우려되는 점은 쌀 소비 감소율이 다시 증가세를 보였으며, 제조업(식료품 및 음료)부문 쌀 소비량도 74만 4,055톤으로 전년대비 1.5% 감소했다는 것이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 1월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양곡소비량 조사결과와 관련해 2018년 1인당 쌀 소비 감소율이 1.3%로 전년보다 0.2%포인트 증가에 그친 것에 대해 2000~2017년 평균 감소율 2.2%보다 낮은 수준이라며 쌀 소비량 감소 추세가 정체기에 접어들었다는 다소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실제 통계청의 연도별 1인당 연간 쌀 소비 감소율을 살펴보면 2009~2012년에는 매년 2% 내외에서 감소하다 2013~2015년에는 3%대로 급격히 증가했다. 이후 2016년부터 2018년까지 1% 수준으로 감소폭이 완화된 바 있다.
 

이에 우리와 가까운 일본과 대만의 사례에 달리 더 이상의 쌀 소비량 변화는 적을 것이라는 기대였다.
 

일본은 1인당 쌀 소비량이 2008년 59kg을 기록하며 50kg대로 접어든 이후 소폭의 등락을 보이며 2016년 기준 54.4kg을 기록했다. 급격한 쌀 소비 감소세를 겪었던 대만은 1980년 이전만해도 1인당 소비량이 100kg을 넘었으나 1990년에 접어들며 60kg대를 기록하더니 1994년 50kg대로 떨어졌다.

소비 감소세는 이후로도 계속돼 2003년 49.1kg로 급기야 40kg대에 기록했으며, 2016년 기준 쌀 소비량은 44.4kg이다. 비록 감소폭이 줄고 있다고 하지만 여전히 대만은 쌀 소비량이 감소하고 있다.
 

물론 쌀 소비량 감소율의 변화는 일시적인 현상일 수 있어 향후 2~3년간은 감소 추이를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지난해 쌀 소비량 감소율이 3%에 달하며 전년보다 1.7%포인트 높아졌다는 점은 눈여겨봐야 할 부분이다.
 

따라서 쌀 소비 확대를 위한 정책 전반에 걸친 점검이 필요하다. 
 

정부는 주식인 쌀에 대한 이해와 쌀 소비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2003년부터 다양한 쌀 소비 활성화 사업을 추진해 오고 있다. 사업 방식도 초기에는 쌀 소비 잠재력이 높은 어린이와 청소년, 젊은 주부를 대상으로 쌀에 대한 긍정적 인식 제고를 통해 쌀 중심의 식생활을 장려했지만 이후 맞벌이·1인 가구 증가에 따른 간편식 시장 확대 등 사회구조 변화에 따라 쌀 소비 정책 홍보 방향도 바뀌었다.

특히 농림축산식품부가 2014년 10월 ‘쌀가공산업 육성 및 쌀 이용 촉진에 관한 5개년 기본계획’을 수립·추진하면서 단순이 ‘쌀=밥’이라는 공식에서 벗어나 식자재로서의 쌀에 대한 홍보와 제품 개발, 가공업체 육성 등에 집중하고 있다. 그 결과 도시락·식사용 조리식품, 면류 등 간편식사용 가공식품의 쌀 소비량이 크게 늘면서 2008년 26만9000톤이던 가공용 쌀 소비량도 2018년 56만8000톤으로 증가하는 가시적인 성과를 거뒀다. 
 

이제는 단순히 ‘쌀=밥’이라는 공식에서 벗어나 쌀의 영양적 가치 정보 제공, 식습관 교육 등 밥상용 쌀 소비촉진 정책은 지속적으로 추진, 추가적인 감소를 최대한 억제하면서 한편으론 소비 트렌드와 사회·유통구조 변화에 대응한 쌀 소비의 외연 확대를 위한 정책 집중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