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박유신 기자] 

귀농·귀촌은 이제 하나의 사회적 추세가 됐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05년까지 1200가구 이하 수준이던 연간 귀농·귀촌 동향은 2011년 1만가구 이상으로 급속히 증가하기 시작한 이후 2018년 귀농 1만1961가구, 귀촌 32만8343가구 등 34만여가구로 크게 늘었다. 연간 50만여명이 농업이나 농촌에 유입되고 있다. 
 

귀농·귀촌에 대한 국민적인 관심이 높아지게 된 데는 베이비부터 세대의 은퇴, 다양한 삶의 가치 추구 등 그 요인도 다양하다.
 

앞으로 베이비부머 세대 은퇴가 가속화되고 기대수명 증가로 장년층과 노년층의 탈도시화 흐름도 지속될 것이다. 여기에 갈수록 청·장년의 고용여건이 불안정해 지면서 농업이나 농촌에서 비즈니스 기회를 찾는 이들도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인구 구조나 경제사회적 구조 등을 고려할 때 귀농·귀촌의 증가세는 상당기간 지속될 예상된다.
 

이에 정부도 이들 귀농·귀촌인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제도적·재정적인 측면에서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대표적인 정책이 귀농·귀촌 종합계획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008년 외환위기 이후 크게 늘어난 귀농·귀촌인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다음해 2009년과 2012년 귀농·귀촌 종합계획을 수립한바 있다. 
 

특히 2015년 7월 제정·공포된 ‘귀농어·귀촌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은 정부의 귀농·귀촌 정책에 있어 큰 변화를 촉발하는 계기가 됐다. 이전까지는 국가차원에서 큰 그림이 없이 개별적이고 단편적으로 추진돼 왔던 귀농·귀촌 정책이 법적 근거 하에 중장기적 관점에서 정책을 추진하게 됐기 때문이다. 이때부터 귀농·귀촌 실태조사도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장기 관점에서의 종합지원계획도 수립하는 등 정책의 실효성과 일관성을 담보하게 됐다. 그 결과물이 2016년에 수립된 5년 단위 ‘2017~2021년 귀농·귀촌 종합계획’이며, 지금까지도 정책 수립의 근간이 되고 있다. 
 

그렇다면 과거보다 귀농·귀촌을 꿈꾸는 이들의 고민 종류와 삶의 질은 얼마나 개선됐을까. 
 

농식품부가 2016년 처음으로 귀농·귀촌 실태를 조사한 결과와 최근 발표한 2019년 조사결과를 비교해 보면 대략적이나마 알 수 있다. 
 

2016년 당시 귀농·귀촌인의 애로사항을 묻는 질문에 귀농인의 경우 36.2%가 ‘영농기술·경험부족’이라고 꼽았다. 이외 농지·시설투자 자금 부족(28.8%), 재배품목의 판로부족(11.2%) 순이었다. 또한 농촌 이주 직후 가구 총소득의 급격한 하락과 주거 확보에 대한 어려움을 호소했다. 따라서 이주 초기 농업소득 부족을 보완할 수 있는 일자리와 정보서비스를 확충해 달라는 요구가 많았다.
 

2019년 조사결과에서도 이 같은 애로사항은 비슷했다. 여전히 귀농·귀촌에 불만족인 이유로 ‘영농기술·경험부족’이라는 응답이 귀농가구는 28.5%, 귀촌가구는 30%에 달했고, ‘자금부족’ 역시 각각 27.8%, 43.3%를 차지했다. 여기에 귀농·귀촌 정책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귀농가구는 27.3%, 귀촌가구는 41.7%가 정보획득의 어려움을 꼽았다.
 

그럼에도 귀농·귀촌 10가구 중 6가구는 전체적인 생활에 만족을 표한 것을 보면 중장기적으로 정책의 효과가 분명히 나타날 것이라는 기대를 갖게 한다.
 

귀농·귀촌은 그리 녹록한 사안이 아니다. 많은 이들이 이상적인 생각과 꿈을 갖고 귀농과 귀촌을 꿈꾸지만 현실은 많은 준비와 노력과 인내를 요구한다. 특히 ‘준비하는 자에게 기회가 온다’는 말처럼 자신의 삶과는 다른 삶이 존재하는 농업·농촌에서 새로운 삶과 미래를 보장받기 위해선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 실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귀농·귀촌정책 진단 및 성과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귀농·귀촌 교육을 이수한 이와 아닌 이들의 농업소득이 5년 후 2배 이상 차이가 발생했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정부도 중장기적으로 귀농·귀촌인이 농업·농촌에서 더 나은 삶을 일궈갈 수 있도록 일관성 있는 정책 추진이 필요하며, 사전에 신중하고 세밀하게 귀농·귀촌을 준비할 수 있도록 관련 교육과 컨설팅을 확대해야 한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