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이한태 기자] 

21대 국회의원 선거가 한 달도 채 남지 않았다. 오는 26일과 27일 후보자 등록이 진행되며 다음달 10일과 11일에는 사전투표, 15일에는 각 후보자와 정당의 명운을 결정짓는 본투표가 실시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발생으로 전 세계가 초긴장 상태인 가운데서도 여의도 시계는 빠르게 돌아가고 있는 것이다.

 

농업계는 이번 21대 국회에 진정으로 농업을 머리와 가슴으로 이해하고, 농업을 위해 두 팔 걷고 뛰어줄 인물이 한 명이라도 더 많이 국회에 입성하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다. 하지만 주요 정당의 후보자 선정과정을 지켜보면 이러한 농업계의 바람이 얼마나 이뤄질지는 미지수라는 게 보다 냉정한 평가가 아닐까 한다.
 

‘저 역시 농업인의 아들(딸)입니다’라며 농업인의 한 표를 호소하던 유력인사들이 즐비했지만 작금의 정치권은 정작 농업·농촌을 위한 공약조차 제대로 마련되지 못했다는 질타를 받고 있다. 새로울 것 없는 공약, 지속가능한 농업·농촌을 위한 진지한 고민의 흔적 보다는 많이 회자되는 이슈에 편승하는 듯한 인상을 지우기 어려운 공약들이 태반이다. 늑장 공약도 모자라 현실성이나 진정성이 크게 느껴지지 않는 공약들로 ‘농업 홀대’라는 비판이 또 다시 고개를 드는 빌미를 주고 있는 것이다.
 

후보자 선정 과정 역시 마찬가지다. 농업인 비례대표를 당선 안전권에 배치한 정당은 군소정당이라 불리는 몇 곳뿐이다. 이마저도 정당지지율 등을 감안하면 두고 봐야 할 문제이기는 하다는 비관적인 평가도 있다. 주요 정당에서는 전략적인 공천을 통한 총선 승리를 외치며 역량을 집중하고 있지만 그 셈법에 농업은 저 멀리 뒤쪽에 자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새롭게 선거권이 생긴 만 18세 이상 청년들, 대표적 사회적 약자로 꼽히는 여성과 장애인, 벤처, 주택, 국방 등의 이슈에 농업·농촌은 후순위로 밀려난 듯한 인상을 지우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는 과거와 달리 농업·농촌에 대한 집중이 당의 이해에 크게 도움이 안 된다는 계산이 기조에 깔린 결과로 풀이된다. 농업·농촌 보다는 보다 화제성이 높은 이슈를 선점하는 게 선거에 유리하다는 판단일 것이다. 어찌 보면 그동안 농업인들이 선거 때마다 보여준 낮은 가성비(?)에 따른 결과일 것이지만 안타까운 마음이 드는 건 감출 수가 없다.
 

농업은 국민의 농업으로 나아가는 전환기를 맞아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농업계도 21대 국회는 이를 위한 초석이 돼 국민과 소통하며 공감대를 형성하는데 앞장서야 한다는 바람을 실현시키기 위해 서운한 마음을 앞세우기 보다는 남은 한 달에 모든 역량을 모아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