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박유신 기자] 

농업·농촌의 기능이 농산물 생산에서 융복합산업 등으로 전환·확산됨에 따라 여성농업인의 역할이 강조되면서 최근 여성농업인의 성평등과 삶의 질 개선이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통계청의 2019년 농림어업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농가인구는 총 224만5000명으로 이중 남자는 110만명, 여자는 114만5000명을 차지했다. 전체 농가인구는 전년보다 7만명 감소했지만 여성농업인의 비중은 전년보다 0.7% 포인트 높아졌다.
 

연령대로는 70세 이상 여성농업인이 39만2000명으로 전체 여성농업인의 34.2%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60~69세가 31만7000명으로 27.7%를 차지했다. 여성농업인 10명중 6명 이상이 60세 이상이다. 특히 농업등록체에 등록된 여성농업인 중 여성경영주는 2018년 기준 44만8000명으로 전년보다 1만3000명, 2015년 39만6000명 보다 5만2000명이 늘었다. 농업 경영에 있어 여성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여성이 남성을 일정 부분 대체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실제 청년 여성 경영주가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보이는 것은 주목할 만하다. 2018년 40대 미만의 청년 여성 경영주는 7만6000명으로 전년보다 6.5% 증가했고 영농경력 3년 이내인 청년 여성 창업농은 전년보다 20.5%나 증가했다.
 

이처럼 여성 농업인의 역할이 갈수록 중요시 되고 있지만 농업·농촌에서 여성의 지위보장이나 삶의 질은 여전히 부족하다는 지적이 확산되고 있다.
 

이에 21대 국회 출범과 함께 여성농업인의 지위 향상과 삶의 질 개선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대통령직속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는 지난 15일 국회에서 ‘희망을 만드는 농어촌 여성정책 포럼’을 발족했다. 내년에는 포럼을 농특위 내 특별위원회로 격상시키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이날 발족식을 함께한 더불어민주당 의원들도 21대 국회에서 여성농업인과 관련 의제에 대해 적극 지지할 것임을 밝혔다. 
 

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역시 최근 여성농업인 단체장과의 오찬 간담회에서 “여성농촌지역에 특화된 성평등 강사 육성 등 양성평등 정책을 강화하고 농작업 편이장비 장기임대 등 농작업 여건을 개선하는 한편 보육시설 지원 확대 등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 확대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하기도 했다.
 

농정사에 있어 여성농업인에 대한 차별화된 정책 수립이 시작된 때는 ‘여성농업인육성법’이 제정된 2001년이다. 여성농업인 육성·지원을 위한 법적 근거가 마련되면서 정부는 5년 단위로 여성농업인 육성 기본계획을 수립·추진해 오고 있다.
 

2001~2005년 제1차 기본계획에선 ‘여성농업인의 전문인력화·지위향상·삶의 질 제고를 통한 건강한 농촌가정의 구현’을, 2006~2010년 제2차 기본계획에선 ‘남녀 농업인이 책임과 성과를 공유하는 지속가능한 농업·농촌’을, 2011~2015년 제3차 기본계획에선 ‘창조성·전문성·리더십을 겸비한 인력 육성과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을 통한 삶의 질 향상’을 목표 내지 비전으로 설정해 시대변화에 맞는 다양한 정책이 추진돼 왔다.
 

올해가 마지막해인 제4차 기본계획에선 ‘실질적 양성평등으로 여성농업인의 행복한 삶터, 일터 구현’을 비전으로 15개 과제가 추진 중에 있으며, 올해 정책 평가를 통해 제5차 기본계획이 수립될 예정이다. 
 

20여년을 여성농업인과 관련된 각종 정책이 추진됐고 지난해에는 농식품부 내에 농촌여성정책팀이 만들어지기도 했지만 여전히 갈 길이 멀다.

농식품부가 실시한 2018년 여성농업인 실태조사 결과 10명 중 8명의 여성농업인은 남성농업인보다 직업적 지위를 낮게 인식하고 있고, 자신을 경영주로서 인식하는 여성농업인 역시 10명중 3~4명에 불과하다는 것이 이를 반증한다. 
 

여성농업인이 농업·농촌의 당당한 주체로서 자부심을 갖고 각자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세밀한 정책이 개발·추진되길 바란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