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농수축산신문 ]
비닐하우스 등 영농 폐기물 수거와 처리에 차질이 빚어지면서 농촌 생태와 환경이 심각하게 오염되고 있다.
환경부에 따르면 해마다 농촌에서는 32만 톤의 영농폐비닐이 발생되고 있으나 품질이 좋은 폐비닐 7만 톤은 민간에서 처리하고 있으며, 품질이 낮은 폐비닐 19만 톤은 한국환경공단 수거사업소에서 수거하지만 나머지 6만 톤의 영농폐비닐은 불법 소각되거나 매립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한국환경공단에서 수거되고 있는 영농폐기물의 처리도 늦어지면서 해마다 적체 물량이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 ‘2018년도 기준 영농폐기물 조사’에 따르면 2016년에 수거된 20만5951톤의 영농폐기물 중 5%가 처리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난 5월 현재 총 누적량은 9만6045톤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단 적재용량의 77%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임이자 의원(미래통합, 상주·문경)은 최근 국회에서 ‘영농 폐기물 수거·처리 중장기 발전방안 마련을 위한 토론회’를 개최하고 영농폐기물을 효율적으로 수거·처리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는 게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한국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도 최근 성명서를 내고 영농폐기물 처리 대책을 촉구하고 나섰다.
한농연은 농업 분야의 인력 부족 문제가 심화되고, 안전 먹거리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늘어나고 있는 만큼 중앙정부 차원에서 폐농약병, 폐비닐 등 영농폐기물 처리·수거 대책을 즉각 마련해 달라고 촉구했다.
영농폐기물을 지금처럼 방치하는 것은 농촌의 생태와 환경을 오염시키는 것은 물론 우리가 보존하고 지켜야 할 농촌 경관을 해치는 일이다. 한번 파괴된 생태와 환경, 농촌 경관을 다시 되돌리기 위해서는 수 배, 아니 수 십배의 노력이 필요하다. 조만간 닥칠 영농폐기물대란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다각도의 대책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