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농수축산신문]

 

전국 곳곳에서 가축분뇨, 가축질병, 공장식 사육 등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으면서 축산업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지속되고 있다.

국내 경제 발전 수준에 따라 축산물 소비가 급증하면서 축산업의 양적 확대도 빠른 속도로 이뤄졌다. 이 과정에서 축산 분뇨로 인한 여러 환경 문제가 발생되고 있으며, 밀집사육으로 인한 가축 질병과 폐사 등의 문제도 지속되고 있다. 또 친환경 안전 축산물에 대한 소비자들의 니즈(needs, 요구)가 갈수록 높아지면서 현재와 같은 사육 시스템을 하루 속히 바꿔나가야 한다는 여론이 비등해지고 있다.

악취 등 분뇨 문제는 일반 국민 뿐 아니라 농어촌 지역 현장에서도 더 이상 용납하기 어려워지고 있다. 각 시군에 빗발치는 민원 중 상당수는 축산업과 관련된 것이라는 후문이다.

이같은 안티 축산여론을 잠재우고, 지속 가능한 축산업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국민 눈높이에 맞는 친환경 안전축산을 이뤄나가는 게 중요하다. 친환경 안전축산을 실현하지 않고는 더 이상 축산업을 지속하는 게 어려워질지 모른다. 그동안에는 가축을 잘 키우는 데만 신경썼다면 이제는 여기에다 지역의 환경을 보전하고, 경종농가·농촌 지역 주민과 공생하며, 지역과 함께 발전해 나가는 데 주력해야 할 때이다.

아울러 축산업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도 병행해야 한다. 축산물에 대한 영양학적 가치에 대한 평가를 절하한다든지, 근거없는 비과학적인 정보를 확산하는 것 등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할 것이다. 또한 축산물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확산될 수 있도록 다각도의 홍보전략도 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