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농수축산신문]
농촌 지역의 삶의 여건을 개선하는 것이 국가 전체의 저출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와 주목된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최근 ‘2020 지역발전지수’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서는 농촌지역의 경우 가임기 여성이 도시보다 수적으로는 적어도 결혼하면 도시보다 많이 낳는 경향이 있는 만큼 다양한 결혼·임신·출산·육아·보육·청년 유입 정책을 펼친다면 국가 전체의 저출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실제 지역재생잠재력지수가 높은 지역의 경우 다양한 육아, 보육 정책을 통해 성과를 창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구체사례로 산청군은 ‘찾아가는 산부인과’사업을 지속적으로 운영하고 임산부 교육 프로그램 등 적극적인 출산 장려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으며 지역 내 어린이집을 공립화하는 등 교육여건이 우수해 젊은 층의 귀농과 귀촌 인구가 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강진군은 공동육아카페와 다함께 돌봄센터를 운영해 호평받고 있으며, 고흥군은 지자체보다 민간 단체 중심으로 적극적인 출산 장려 정책을 펼쳐 성과를 내고 있다. 고흥군은 2019년 기준 도시에서 유입된 귀농인이 176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았다.
지역의 이같은 성공 사례는 소멸위기에 처한 농촌 지역을 회복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다양한 육아, 보육 정책을 통해 농촌에 살아도 도시 못지 않은, 더 나아가 도시보다 나은 교육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다면 저출산 문제와 지역소멸이라는 최대 난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한 과감한 정책 개발과 투자가 확대돼야 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