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농수축산신문]
물가 상승세가 지속되면서 애꿎은 농축수산물이 물가상승의 주범으로 내몰리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7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6%로 9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지난 5월과 동일한 수준을 기록했다. 분야별로는 농축수산물이 9.6%, 공업제품 2.8%, 전기·수도·가스가 0.3%, 서비스가 1.7% 인상했다. 수치로 봤을 때는 농축수산물 인상폭이 물가인상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지난달 29일 문재인 대통령도 민생경제장관회의에서 ‘계란 값을 특별하게 살피라’고 지시했으며 이후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비롯한 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등이 잇따라 현장을 점검하는 등 계란 값 잡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모습이다.
하지만 농축수산물 품목의 가격 상승이 전체 물가 상승률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현저히 낮다. 실제 농축산물의 가중치는 1000분의 77.1에 불과하다. 이는 약 7.71%만큼만 물가지수에 반영된다는 의미다. 이에 비해 서비스는 1000분의 551.5, 공업제품은 1000분의 333.1로 비중이 훨씬 크다. 농축수산물이 물가상승의 주범이 아닌 것이다. 밥 한공기 가격은 300원 안팎으로 자판기 커피 가격도 안되는 게 현실이다.
물가 인상 이슈가 발생할 때마다 농축수산물이 마치 물가인상의 원흉인 것처럼 내몰리는 현실은 지금이라도 바로 잡아야 한다.
최근 계란과, 과일류, 상추와 시금치 등 잎채소 등의 가격이 큰폭으로 오른 건 사실이다. 이는 고병원성AI로 인한 정부의 과도한 살처분으로 알을 낳는 산란계가 대폭 줄어들었기 때문이며 지난해 최장 장마 등에 따른 작황 부진, 연초 한파 등 기상이변에 따른 것이다.
이같은 수급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서둘러 부족한 농축수산물을 수입할 게 아니라 국내의 안정적인 생산 시스템 구축에 심혈을 기울이고, 항구적인 재해대책 마련 등 근본적인 대책을 추진해 나가는 게 답이다.
농축수산물을 물가상승의 주범으로 내몰아 농어업인들의 마음에 비수를 꽂을 게 아니라 근본적인 대책 마련에 속도를 내 주길 촉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