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농수축산신문]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확산세가 심상치 않다. 지난 10월 17일 경북 예천의 한 종오리 농장에서 올해 첫 발생한 이후 충북, 강원, 경기지역으로 확산되더니 최근들어 전남 지역에서 잇따라 고병원성 AI 확진농장이 속출하며 피해가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다.
정부는 이처럼 고병원성 AI가 확산되고 있는 것은 바이러스에 상대적으로 강한 ‘오리’ 때문인 것으로 보고 사육제한조치 등 초강수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6년째 지속되고 있는 사육제한조치에 대한 농가 불만은 갈수록 커지고 있으며 초강수 대책에도 불구하고 고병원성 AI차단방역은 사실상 실패하고 있는 만큼 보다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오리 생산자들은 당장 낙후된 사육시설을 개선하는 게 시급하며 이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대책을 촉구하고 있다.
실제 (사)한국오리협회에 따르면 전국 오리 농가의 76.3%인 695호가 비닐하우스형 가설건축물축사에서 오리를 사육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가설건축물 축사는 수시로 축사에 사람과 장비가 출입할 수 밖에 없는 구조이다. 지금과 같은 상황에서는 고병원성 AI를 근본적으로 차단하기 어렵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농가들은 현재 정부가 추진 중인 현대화 시설 지원조건으로는 농가들이 선뜻 시설개선을 추진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해마다 천문학적인 정부 예산이 고병원성 AI 발생으로 인한 살처분비 등으로 소요되고 있다. 오리의 사육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휴지기제를 도입하는 것보다 AI방역에 더 효과적이고 근본적인 대책이라 할 것이다. 해마다 반복되고 있는 고병원성 AI를 근본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정부차원의 특단의 대책이 추진돼야 할 시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