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농수축산신문]
농촌 소멸이 가시화되면서 지역 농협의 위기감도 팽배해지고 있다. 농촌이 소멸돼 해당 지역의 농업인 조합원들도 모두 사라지게 되면 조합원을 근간으로 사업을 하던 농협도 사실상 존립하기 어려워 지는 건 당연한 수순일 것이다. 앞으로 10년 후 농촌소멸이 지금보다 더 가속화된다면 현재 수준의 지역농협이 존재할 수 있을지 장담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한국고용정보원에 따르면 현재 228개 시·군 중 인구소멸위험지역은 2013년 75개이던데서 2018년 89개, 2023년 118개로 전체의 52.9%로 나타났다. 시도별 소멸위험 시군구 비중은 전북이 92.9%, 강원 88.9%, 경북 87.0%, 전남 81.8% 순으로 농촌지역의 인구소멸이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더욱이 2023년 농가인구 209만명 중 40세 미만 청년농 비중은 2010년 27%이던데서 2023년 12%로 급감했다는 점에서 문제의 심각성이 더 크다 할 것이다.
농촌 소멸은 농촌 공동체는 물론 지역 경제의 붕괴로 이어진다. 농촌에 사는 사람이 없는데 그안에서 어떤 경제활동이 이뤄질 수 있으며, 농사를 짓는 것도 사실상 어려워질 게 뻔하다.
농촌 소멸 위기는 농촌사회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협동조합의 위기와 맥을 같이 한다. 당장 상호금융사업에 차질이 발생하는 것은 물론 농사를 지을 사람도 없어지고, 농산물 판매사업도 성과를 내기 어려워질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지난 4월 26일 농촌살리기현장네트워크와 농식품신유통연구원 주최로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열린 ‘지방소멸시대 지역농협의 역할과 과제’ 토론회에서 각 분야 전문가들은 이같은 농촌소멸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새로운 조합원 육성방안을 강구하는 한편 농협 사업내용과 운영방법의 대대적인 혁신 등을 주문했다.
농촌 소멸이 가속화되고 있는 이 때 농협 스스로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혁신을 거듭할 때 지역발전의 주체로 존재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