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이문예 기자]

 

정부가 부총리급 인구전략기획부(인구부)를 연내 신설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인구부가 저출생을 포함해 고령사회, 이민, 지역소멸 등 전반적인 인구 문제를 아우르는 컨트롤타워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 중 지역소멸에 특히 눈길이 꽂힌다. 다른 주제들과 달리 절대적 인구 감소 문제에서 나아가 지역 간 상대적 인구 감소 문제까지 아울러야 하는 주제여서다.

그간 지역소멸 문제는 정부와 지자체의 부단한 노력에도 해소·완화의 기미가 보이기는커녕 더욱 악화돼 왔다. 관계부처 합동으로 대응방안을 모색하고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이어갔지만 역부족이었다. 지난 3월 기준으로 전체 228개 시군구 중 소멸위험지역은 130, 57%에 달할 정도로 심각한 문제로 부상했다.

여기엔 지역간 이동에 따른 상대 인구 감소도 큰 원인으로 작용했다. 통계청의 인구전망 자료에 따르면 2020년에는 수도권 인구(2596만 명)가 처음으로 비수도권 인구(2582만 명)를 추월했다. 앞으로도 비수도권 인구의 역전은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나라 전체 인구는 지속 감소하고, 절반 이상이 수도권에 밀집하니 그밖의 지역은 날이 갈수록 활기를 잃고 쪼그라들 수밖에 없는 셈이다. 이런 상황에서 지역의 지속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한 청년들의 지역 유입 확대의 중요성은 반복해도 모자라다.

오랜 시간 20대 청년층의 수도권 전입 사유의 압도적 1위는 직업으로 나타났다. 반면 최근 5년간 귀농한 30대 이하 청년층의 귀농 사유는 농업의 비전과 발전 가능성이었다. 결국 어떤 일을 하며 밥벌이를 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이 청년들을 움직이게 하는 가장 큰 요인인 것이다.

청년들이 지역에서 자립기반을 마련하고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적·정책적 지원이 절실하다. 정권에 따라 변화하기보다 일관성 있는 정책으로, 청년들의 지역살이를 지속적으로 뒷받침해줄 수 있다는 신뢰 쌓기도 필요하다.

지난해 취재했던 한 청년농업인은 농촌의 발전 가능성이 무궁무진함을 느끼지만 불안정한 한시적 정책에 농촌에 터잡고 살 청년은 많지 않다"고 말했다.

이제 농촌소멸을 다룰 컨트롤타워가 생겨나는 만큼 불안정한 청년의 마음을 움직일, 잘 다듬어진 안정적 정책과 지원이 이어지길 바란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