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농수축산신문]
최근 전국 각지에 기습폭우가 쏟아지면서 농작물 피해가 잇따르고 있다. 한 해 농사를 망친 농어업인들은 억장이 무너진다. 정부의 재해대책이 있지만 실질적인 피해를 보상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해 그 피해는 고스란히 농어가 몫으로 남고 있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이상기후 현상은 갈수록 심각해 지고 있다. 지난해만해도 대설과 한파, 이상저온, 집중호우와 태풍 피해, 여기에 우박피해까지 연달아 발생하면서 일년 내내 크고 작은 농작물과 가축 피해가 이어졌다. 올해 상황도 다르지 않다. 지난달 이미 우리나라는 폭염 기록을 경신했다. 지난달 폭염일수는 2.8일로 기상 관측망을 전국으로 확대한 1973년 이래 가장 많았다. 또 급격한 수온 상승으로 김, 미역 등 수산물 피해가 이어지고 있으며 최근 전국 각지에서 ‘물폭탄’수준의 비가 쏟아지면서 인명피해는 물론 막대한 농작물 피해를 입혔다. 갈수록 연평균 기온이 오르면서 한반도는 사실상 아열대 기후에 진입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재해로 인한 농축수산물 피해는 비단 농어업인들만의 피해로 그치지 않는다. 작물의 생산량 감소는 곧바로 수급 불안과 소비자 물가 상승으로 이어져 그 피해는 눈덩이처럼 커진다.
지난해 이상기후로 사과 생산량이 30%가량 줄어들면서 사과 가격이 연일 폭등하는 ‘금사과 파동’으로 물가당국이 곤혹을 치르기도 했다. 정부가 물가안정 차원에서 할당관세 정책을 펴고 있지만 이는 근본적인 대책이라 하기 어렵다.
식량안보 차원에서 그리고 안정적인 식량 공급시스템을 유지, 발전시켜야 하는 차원에서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는 이상기후에 대비해 농어업 재해대책을 대폭 강화해야 하는 시점이다. 실의에 빠진 농어업인들이 다시 영농일선에 나설 수 있도록 ‘찔끔’ 지원이 아닌 회생 가능한 현실적인 지원방안이 마련돼야 한다.
농어업분야 재해대책을 강화하는 것은 농어업인들의 피해를 보전해주는 차원을 넘어 국민들에게 안정적인 식량을 공급하기 위한 안전장치라는 점을 다시한번 강조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