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김신지 기자]
염소산업이 보양식품으로 주목받으면서 급성장하고 있다. 염소는 소나 돼지 등 다른 축종에 비해 적은 자본과 노동력으로 사육할 수 있어 귀농 후 많이 선택하는 축종 중 하나로 손꼽힌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국내 염소 사육마릿수는 2014년 25만729마리에서 2022년 43만2765마리로 10년 사이에 72%의 성장률을 보였으며 염소 생산액 또한 2018년 595억 원에서 2021년 1775억 원으로 크게 성장했다.
이에 따라 염소 가축경매시장도 늘어나는 추세다. 지난 5월에는 경남 함양산청축협이 염소 가축경매시장을 개장했으며 이후 전남 보성축협, 강원 강릉축협 등에서도 가축경매시장을 열어 전국에서 10개 이상의 염소 가축시장이 운영 중이다.
지난 3월 한국종축개량협회는 염소 등록기관으로 지정돼 국내 최초로 제1호 염소 혈통등록을 완료하며 염소개량의 시작을 알리기도 했다. 염소의 혈통등록은 무분별한 교배를 예방하고 우수한 종축을 선발·보급해 생산성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염소산업 이면에는 아직도 문제점들이 산적해 있다. 바로 품종별 사양관리 기술과 전용 사료 부족, 염소고기 판로 부족 등의 성장통을 겪고 있는 것이다.
국내 염소고기는 도축장을 거치지 않고 농가 또는 중도매인을 통해 생축으로 유통되는 경우도 존재한다. 전문 도축 시설이 부족해 도축을 하기 위한 운송 비용이 커지고 판로도 제대로 형성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또한 염소고기에 대한 육질등급이 존재하지 않아 품질도 제각각이며 정형화된 도체중 등이 없어 전문 도축장의 기준도 모호한 상황이다. 이로 인해 국내산 염소고기보다 가격이 저렴한 수입 염소고기를 사용하는 식당들도 늘어나는 추세며 외국산이 국내산으로 둔갑 유통되기도 한다. 특히 정부의 방역사업에서 염소에 대한 지원은 제외돼 있어 브루셀라, 요네 등 질병에 대한 방역체계도 미흡한 실정이다.
염소산업은 향후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성장세를 이어가기 위해선 정부의 제도 마련과 다양한 지원을 통해 소비자와 농가를 보호해야 한다. 농림축산식품부의 관심이 필요한 이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