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농수축산신문]
농업·농촌을 둘러싼 대내외 여건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 특히 농촌지역의 인구감소와 고령화는 더 빠르게 진행되면서 농촌 소멸위기가 고조되고 있다. 농촌 소멸은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이 사라지고, 농촌 경제가 소멸하는 데에서 그치지 않는다. 식량의 안정적인 공급에 차질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곧 식량 안보와 직결된다는 점에서 문제의 심각성이 크다 할 것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공동농업경영이 활성화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지난 2009년부터 육성 중인 ‘들녘경영체’가 그 사례로 공동영농을 통해 생산비를 줄이고, 품질향상과 사업다각화를 추진, 농가 소득증대를 견인하는 성과를 보이고 있다. 이사업은 벼를 주 작목으로 들녘 단위 50ha이상을 집단화한 농가 조직체를 적극 육성, 지난해까지 전체 논 면적의 14.1%에서 집단화를 이뤘다. 한국농산업조사연구소 분석 결과 들녘경영체 운영을 통해 육묘, 경운, 이앙, 방제, 수확 등에 대한 공동작업 비율이 9~16% 증가했으며, 개별 농가 대비 생산비는 14% 줄고, 순수익은 5.3% 증가하는 효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같은 소기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리더십 부재와 안정적인 소득원 부족, 관리운영과 사후관리 미흡 등의 문제로 들녘경영체는 크게 확산되지 못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하지만 들녘경영체와 같은 공동농업경영으로 인한 이점이 분명하고, 갈수록 열악해지고 있는 농촌여건을 감안할 때 지속가능한 농업을 유지, 발전시킬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인 만큼 이를 지속해 나가기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다. 관계자들에 대한 교육 훈련과 경영 마인드 제고, 참여 인센티브, 기존 정책과의 연계 등 다양한 정책적인 지원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