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농수축산신문]
청년어업인 육성을 위해 추진 중인 어선청년임대사업이 소기의 성과를 보이고 있다. 이 사업은 기존 어업인의 어선을 어업에 관심있는 청년들과 매칭해 주며 정부가 임차료의 절반을 지원해 주는 사업이다. 여기에 역량 강화 교육과 우수 어업인 멘토링 지원 등도 이뤄진다.
2022년 첫사업을 시작한 이후 지금까지 24명의 청년들이 어선을 계약했으며, 다행히도 사업에 대한 관심도가 매년 높아지고 있다. 특히 사업에 참여한 청년들의 46.2%가 어촌에 실제 정착하는 성과를 냈다는 점에서 앞으로의 정책 효과가 기대되고 있다.
물론 아직 투입 예산이나 사업 실적이 많지 않다는 점에서 성과를 논하기는 이를지도 모른다. 하지만 청년들에게 수산업계 진입장벽을 낮춰주고 실질적인 정착으로 이어지게 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는 것이다.
다만 사업 추진과정에서 보완점도 적지 않게 노출되고 있다. 상당수 어선이 노후화돼 있는데다 영어자금 대출로 임대차 계약이 어려운 경우가 적지 않다. 이같은 이유로 사업의 지속성을 제고하고, 효율성을 높이는 차원에서 지금처럼 어업인의 어선을 임대하는 방식이 아닌 한국수산자원공단이 어선을 직접 매입하고 이 어선을 청년어업인에게 임대해 주는 방식으로 제도를 손질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지난 14일 한국수산자원공단과 수협중앙회가 주최하고 본지가 주관해 개최한 ‘청년 어업인 육성을 위한 어선청년임대사업 개선과제는’좌담회에서 참석자들은 현 제도의 개선과제로 이같은 점을 지적했다.
이와 함께 청년들이 안정적으로 어업에 정착하게 하기 위해서는 어업인 멘토링 기간도 더 늘릴 필요가 있다. 실무 경험이 없는 청년어업인을 위한 현장교육을 더 확대해야 하는 것은 물론이다.
상당수의 어촌이 소멸위기에 처해 있는 상황이다. 어선청년임대사업의 성과가 아직은 미미할지 모르나 이 사업을 통해 청년어업인들이 실질적으로 어촌정착에 성공한 사례가 속속 나오고 있는 만큼 제도 보완을 통해 사업을 대폭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