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농수축산신문]
급격한 농촌인구감소와 고령화 시대, 지속가능한 농업·농촌을 위해서는 밭농업 기계화가 필수이다.
하지만 농촌 현장의 상황은 그렇지 않다. 최첨단 ICT장비가 산업 곳곳에서 활용되고, 무인로봇이 일반화되고 있지만 농업 현장에서는 여전히 사람이 일일이 파종하고, 수확해야 하는 구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지난 11일 열린 농촌진흥청에 대한 국정감사에서도 이같은 미진한 밭농업기계화에 대한 의원들의 질타가 이어졌다.
이원택 의원(더불어민주당, 군산·김제·부안군을)이 농진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밭농업기계화율은 56.3%에서 63.3%로 소폭 상승하는데 그쳤다. 이중 노동력이 가장 많이 투입되는 파종과 정식단계 기계화율은 12.6%, 수확 단계 기계화율도 32.4%에 머물러 현실적인 기계화는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같은 기간 배추와 고추의 경우 파종·정식·수확단계의 기계화율은 ‘0’%대를 기록, 전혀 개선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뿐 아니다. 막대한 정부예산이 투입된 농기계가 제대로 보급되지 않고 있는 것도 문제로 지적된다. 김선교 의원(국민의힘, 여주·양평)이 2019년부터 2023년까지 5년간 농기계 개발 실적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농진청은 이 기간 290억여 원의 예산을 투입, 81종의 농기계를 개발했지만 이중 41.9%에 달하는 34종이 50대 이하로 보급하는데 그쳤다. 특히 개발 후에도 보급되지 않고 있는 농기계가 10건이나 된다. 여기에 투입된 정부예산은 31억85000만 원에 달한다. 농촌 현장과 수요에 맞지 않은 기계 개발로 예산과 시간 모두 낭비한 형국이다.
농진청은 이제라도 현장의 요구에 맞는 농기계를 하루속히 개발하고 보급하는데 집중해야 할 것이다. 밭농업기계화는 인력부족에 허덕이는 농업 현장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반드시 달성해야 할 과제이다. 또한 논농사 위주의 현 농산업 구조 재편 차원에서도 밭농업기계화는 서둘러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