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농수축산신문]
일선조합의 적자 조합수와 적자 금액이 지속적으로 늘고, 상호금융 부채규모와 대출 연체금액도 급증하고 있어 농·축협 상호금융 조직의 부실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정희용 의원(국민의힘, 고령·성주·칠곡)과 임호선 의원(더불어민주당, 증평‧진천‧음성)이 18일 농협중앙회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최근 전국의 농·축협의 적자조합 수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농·축협 적자조합 수는 2021년 3개사에서 2023년 19개로 약 6배나 증가했으며, 같은 기간 적자액도 △43억400만원에서 △676억600만원으로 무려 16배나 늘어났다. 올 상반기에는 적자조합수가 35개로 더 늘어났다.
이에 따라 농·축협 상호금융의 부실 우려도 커지고 있다. 농·축협 상호금융 부채규모는 2021년 423조8607억 원에서 2023년 479조8389억 원으로 13% 증가했으며 부채비율도 1265%에서 1288%로 약 23%P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대출 연체금액이 크게 늘어난 것도 문제이다. 2021년 2조7577억 원이던 연체금액은 2023년 9조4688억 원으로 약 243%나 급증했다. 이처럼 연체금이 늘어난 이유는 무분별한 부동산 대출 승인이 원인인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지역농협 대출잔액은 2021년 311조9546억 원에서 9월 현재 350조4698억 원으로 무려 38조5152억 원 증가했다. 이 중 96.1%가 부동산 대출 증가분이다. 이같은 대출 증가는 리스크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을 경우 자칫 조합의 존폐위기로 이어질 수도 있는 일이다. 금융감독원도 지난 8월 지역농협의 상호금융 부동산 대출 규모가 커지자 농협중앙회에 가계대출 리스크 관리 강화를 요구하기도 했다.
고물가와 불경기 여파로 금융불안 우려가 커지고 있는 만큼 적자 조합에 대한 대책과 상호금융 부실 우려를 선제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안이 강구돼야 하는 시점이다.
조합의 경영악화가 농업인 피해로 이어지지 않도록 농협중앙회 차원의 지원방안을 강구하고, 책임경영 시스템이 구축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