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농수축산신문]
최근 정부양곡 공급 축소 방침으로 쌀가공식품업계 성장세에 제동이 걸릴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쌀가공산업은 그동안 국내외에서 꾸준한 성장세를 보여 왔다. 쌀 소비량은 해마다 감소하고 있는데 반해 쌀가공식품은 다양한 제품 개발과 K-푸드 열풍 등에 힘입어 국내 시장은 물론 해외에서도 인기를 끌며 쑥쑥 성장해 온 것이다. 쌀가공업계의 성장이 없었다면 해마다 과잉생산되는 국내산 쌀과 쌀관세화 유예 조건으로 의무적으로 수입하고 있는 최소시장접근(MMA)물량 40만8700톤을 소비할 방법이 없었을지 모른다.
이에 따라 정부도 지난해 말 적극적인 지원대책을 통해 2028년까지 쌀가공산업을 현재의 2배 수준인 매출액 17조원 규모로 육성하고, 수출도 2억 달러에서 4억 달러로 확대하겠다는 포부를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최근 농식품부가 쌀산업 구조개혁 대책을 발표하며 민간 신곡 활용 확대를 위해 가공용 정부 양곡 공급을 내수용 햇반류 등을 시작으로 단계적으로 제한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2023년 35만6000톤이던 정부 양곡 공급 규모를 지난해 35만1000톤, 올해 34만톤 등으로 줄여 2029년에는 30만 톤까지 단계적으로 감소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정부의 이같은 방침은 쌀 공급과잉 해소를 위해 정부 양곡 공급을 줄이고, 민간 신곡을 사용하도록 유도하겠다는 복안인 것이다.
정부의 이같은 방침에 쌀가공식품업계는 난색을 표하고 있다. 정부양곡 단가는 kg당 1000원인데 반해 민간신곡은 2500원 선으로 두 배 이상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정부 양곡 공급을 감소할 경우 업체의 수익성이 악화되는 것은 물론 민간 신곡 사용이 확대되기는 커녕 대체 원료로 바꾸거나 사업을 포기할 가능성이 더 크다는 게 업계의 항변이다.
쌀 공급 과잉으로 수년째 고전하고 있는 정부의 입장을 이해하지 못하는 바는 아니다. 하지만 모처럼 호재를 맞고 있는 쌀가공식품업계에 찬물을 끼얹어서는 안될 일이다. 시장이 더 활성화되면 자연스럽게 프리미엄 수요가 생길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신곡수요도 늘어나게 될 수 있을 것이다.
지금은 쌀가공식품업계의 시장 규모를 더 키우는 데 주력해야 할 때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