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농수축산신문]
역대 최악의 산불이 휩쓸고 간 울산‧경북‧경남 등 피해지역은 흡사 폭격을 맞은 전쟁터를 방불케하고 있다. 살던 집과 가재도구는 물론 애지중지 키운 가축과 과수 나무 등은 송두리째 불타버렸고, 파종할 종자와 농사에 필요한 농기계도 형체를 알아볼 수 없게 됐다.
당장 들어갈 살 집도, 농사지을 농기계도 한꺼번에 잃어버렸지만 현실적인 피해대책은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서 피해 농업인들의 속은 또 다시 타들어가고 있다.
특히 봄 파종 시기 써야할 농기구와 농기계가 모두 전소돼 당장 영농 현장에 투입할 농기자재 지원이 시급하다. 또한 현재 규정상 농기계 피해 보상은 10여 종으로 제한돼 있어 대다수 농기계 피해에 대한 보상도 어려운 상황이다.
이번 산불로 극심한 피해를 입은 임목도 재해보험 대상 품목이 아니라 임업인 피해는 더 커질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집을 잃어버린 이재민들의 주거 안정을 위한 방안도 시급한 상황이다.
다행히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한 지원방안이 속속 발표되고, 10조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도 추진되며 사회 곳곳에서 도움이 손길이 이어지고 있지만 이재민들의 일상을 회복하기에는 역부족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역대 최악의 피해를 입힌 산불피해를 극복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보다 과감한 지원 대책이 추진돼야 한다. 이를 위해 실제적인 피해복구가 가능할 수 있도록 ‘(가칭)산불 피해 보상 특별법’ 제정이 필요한 시점이다. 관련 법 제정으로 기존의 법령으로 지원할 수 없었던 제도의 사각지대를 없애고, 실질적인 피해복구가 가능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산불로 삶의 터전을 잃은 이재민들이 하루 속히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신속하면서 현실적인 지원대책이 속도감있게 추진돼야 한다는 점을 다시한번 강조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