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농수축산신문]

본격적인 농번기가 시작되면서 올해도 여지없이 농촌 일손 부족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정부는 최근 ‘2025 농번기 인력 지원대책을 발표하고 올해 농업분야 외국인 근로자를 역대 최대 규모인 8만 명 가량 배정하고, 소규모 농가 인력 지원을 위한 공공형 계절근로도 90개소 3000여명으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공공부문에서 농번기 인력수요의 약 50%를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정부의 이같은 대책에도 불구하고 농촌 인력 수급문제는 적지 않은 해결 과제를 낳고 있다.

특히 농가의 만족도가 높은 공공형 계절근로사업에 대한 수요 대비 공급이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공공형 계절근로사업은 각 지자체가 모집한 외국인 계절근로자를 일선 농협들이 고용해 일손이 필요한 농가에 하루 단위로 파견하는 사업이다. 사설 인력업체보다 인건비가 저렴할 뿐 아니라 숙식 등 농가가 져야 하는 부담도 적다보니 농가들의 만족도가 높은 것이다. 농가들의 만족도가 높다보니 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농축협도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지난해 70개소 농협이 이 사업에 참여했으며, 올해는 90개소로 늘어났고, 내년에는 140개소가 참여 의사를 밝힌 상태다.

하지만 공공형 계절근로 사업으로 인한 조합의 인건비 부담이 적지 않아 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특히 국민연금 가입 제외와 주휴수당 등의 예외 적용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농번기 인력 부족문제는 적기 생산 실패에 따른 생산량 감소와 인건비 상승으로 인한 농가 생산비 증가로 이어질 게 뻔하다. 이는 결국 농산물 가격 상승으로 이어져 소비자 물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다. 성과를 내고 있는 공공형 계절근로 사업 등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더 확대돼야 할 시점이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