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박세준 기자]

 

스마트농업이 농업의 미래라는 건 누구도 부정하지 않는다. 스마트농업은 고령화되고 부족해지는 노동력, 종잡을 수 없는 기후, 갈수록 치열해지는 시장에서 품질과 가격 경쟁 등을 돌파하고 농업인을 성공의 봉우리로 이끌어 줄 만능 안내자로 여겨진다. 특히 농업에 관심 없는 사람들 중에는 이미 컴퓨터와 로봇만으로 농업생산이 전자동으로 이뤄지는 미래가 머지않았다고 낙관하는 사람도 많이 봤다.

물론 스마트농업이 가야 할 방향인 건 맞다. 사물인터넷(IoT)과 인공지능(AI), 데이터 분석, 운반로봇 등을 활용한 스마트농업 기술은 지금도 현장 농산업인의 노력으로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많은 농업인들이 기술 발전의 혜택을 입으며 농사를 짓고 있다. 하지만 농사는 아직까지 사람이 짓고 있으며 스마트농업 기술들은 농업인을 보조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후보 시절 공언한 스마트 데이터농업 확산으로 생산·유통·소비 디지털 혁신’ 공약은 환영할 지점이 많다.

특히 지역공동체 주도의 스마트농업경영체 육성중소농가를 위한 적정 모델 개발공약이 실현된다면 국내 농가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중소농도 최첨단 수준은 아닐지라도 스마트농업 기술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중소농가도 스마트농업 기술을 부담없이 도입할 수 있다면 농산물 생산력을 높여 식량안보에 기여함은 물론 스마트농산업의 활성화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하지만 스마트농업 기술에 힘입어 크게 증산된 농산물은 어떻게 유통·소비할 수 있겠는지는 문제다.

지방의 한 청년 농업인도 이미 기존의 대규모 스마트농가가 유통망을 확보해서 우리 같은 소규모 후발주자는 거기에 종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걱정을 털어놓았다.

또 스마트농업 설치 이후에도 안정적인 사후관리와 운용 서비스 등의 필요성도 제기되며 스마트농업의 차세대 주력인 청년농이 겪는 농지 부족 문제도 해결해야 한다.

농업의 스마트농업으로 전환은 농업인, 농지, 기반시설, 금융 등 전면적 개혁이 필요한 일이다. 국민주권정부가 잘 추진해 나가길 바란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