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농수축산신문]
우려했던대로 콩 재배면적이 크게 늘어나면서 과잉생산이 우려되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7월 콩 관측에 따르면 올해 콩 재배면적은 8만3133ha로 전년대비 12.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논콩 재배면적은 무려 46.7%나 증가했다. 이는 전략작물직불제 확대 정책과 벼 재배면적 조정제 등 정부 정책 참여에 따른 것이다. 밭콩 재배면적은 타작물 전환과 수익성 악화 영향으로 전년 대비 2.7% 줄어들었다. 밭콩보다는 논콩의 생산단수가 높다는 점에서 올 콩 생산량 증가는 불가피한 상황이다.
정부가 올해 쌀값 안정을 위해 8만ha의 벼 재배면적 감축 정책에 총력을 기울이면서 이같은 콩 재배면적 증가는 사실 예견된 일이었다. 각 지자체들도 정부의 벼 감축정책에 발맞춰 논콩 재배면적을 확대하는 데 총력을 기울여 왔다. 콩 재배 농가들은 이같은 정부 방침에 우려를 표하며 수확철 공급 과잉에 대한 대책 마련을 요구해 왔다. 농가들의 우려는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하지만 정부가 올해 계획한 콩 비축 수매량은 6만톤이었으며, 실제 예산은 절반 수준인 3만톤에 불과한 상황이다. 여기에 정부가 콩 수매와 관련 현재 농협경제지주에 지급해야 할 2023~2024년도 미지급액은 1300여 억원에 달한다. 다가오는 공급 과잉 사태를 해결하기에 역부족으로 보인다.
정부 정책을 믿고 콩 재배에 나선 농업인들은 공급 과잉으로 인한 가격 폭락 사태를 우려하며 벌써부터 불안해 하고 있다.
이번 콩 재배면적 증가로 인한 공급 과잉 사태는 기상이변이나 시장 상황에 따른 품목 쏠림현상이 아니라 정부 정책에 의해 예상됐던 사태라는 점에서 정부 대책 마련을 서둘러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수매 비축 물량을 최대한 늘려 시장 안정화에 나서는 한편 민관이 협력해 소비 홍보 강화와 판매 채널 확대에도 적극 나서야 할 것이다.
농산물 수급정책의 성패는 타이밍이 달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자칫 시기를 놓쳐 예산은 예산대로 투입하고 시장 불안은 더 키우는 우를 범해서는 안될 것이다. 선제적 수급 대책으로 시장 혼란을 줄여야 한다는 점을 재차 강조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