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농수축산신문]

중남부 지역을 휩쓴 괴물폭우로 농어촌 곳곳이 그야말로 쑥대밭이 됐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 16~20일 내린 집중호우로 농작물 침수 면적은 29448ha에 달하는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는 서울시 면적의 절반에 달하는 것이며, 축구장 약 4만개에 해당하는 크기다. 이번 잠정집계는 각 지자체들의 초동조사 자료로 피해 현황은 앞으로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지역별로는 충남이 16709ha로 가장 큰 피해를 입었으며, 전남(7757ha), 경남(3792ha), 광주(670ha) 순으로 피해가 컸다. 농경지 유실·매몰 면적도 250ha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물피해는 벼 피해가 25517ha로 가장 컸고, 논콩(2108ha), 고추(344ha), 딸기(162ha), 멜론(145ha), 대파(132ha) 순으로 피해가 발생했다.

갑자기 불어난 빗물로 축사가 물에 잠기면서 가축 피해도 잇따랐다. 한우 588마리, 젓소 149 마리, 돼지 775마리, 145만 마리, 오리 151000마리 등이 폐사하거나 유실되는 피해를 입었다.

전례를 뛰어넘는 기록적인 폭우로 농경지 침수와 가축 피해 뿐 아니라 인명 피해도 잇따르면서 역대급 피해를 입혔다.

정부는 가용할 수 있는 모든 행정력을 총 동원해 피해 복구를 서둘러야 할 것이다. 이재명 대통령도 지난 21일 극한 포우 피해 현장인 경남 산청군을 방문한 자리에서 조속한 특별재난지역 선포 추진을 약속했다. 특별재난지역 선포와 함께 재해복구비와 재해보험금 등의 신속한 집행과 호우 이후의 병해충 방제와 작물 생육 회복을 위한 기술지도 등도 서둘러 추진돼야 할 것이다. 자칫 복구가 늦어질 경우 농축산물 수급 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는 상황이다.

이와 함께 이번 사태를 계기로 갈수록 심각해지는 재해에 대비하기 위한 근본적 인프라 확충과 추가 보완대책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