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박세준 기자]

지난 3월의 영남권 초대형 산불, 7월의 경기 가평과 경남 산청의 산사태, 모두 가슴 아픈 참사를 일으킨 산림재난이다. 50명 가까이 산림재난으로 희생된 상황에서 산림관리와 경영에 대해 대통령을 비롯한 전 국민의 관심이 집중되고 논쟁이 벌어지는 건 당연한 일이다.

자칭 ‘재야의 고수’를 비롯해 전문가들과 오랫동안 산림 분야의 소통을 위해 활약한 시민운동 활동가들이 논쟁의 주인공으로 떠오르는 가운데 정작 산림경영의 주역인 산주와 임업인 그리고 산림조합의 목소리가 잘 들리지 않은 점은 아쉽다.

산림에 대한 많은 관심에 비해서 국내 산림의 3분의 2가 사유림이라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산림청의 ‘2024년 전국산주현황’에 따르면 국내 산림의 64.8%는 사유림이며 산주는 220만1000여 명에 달한다. 물론 실제로 산림경영과 임업에 의지를 갖고 임하는 사람은 훨씬 적지만 무시할 수 있는 숫자는 아니다. 특히 지금 시대는 산림 녹화의 결과로 산이 충분히 우거지다 못해 과밀화된 상황으로 인위적인 산림경영과 관리가 필요한 상황으로 산주·임업인의 역할이 더 중요해지는 시점이다.

지난 5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렸던 산림경영 논쟁 관련 토론회에서도 최상태 한국전문임업인협회장을 비롯한 산주·임업인들은 왜 산주와 임업인들은 발표와 토론자로 참여할 수 없냐고, 산은 사유재산인데 왜 이걸 알아주지 않냐고 외쳤다.

산주·임업인들의 입장은 기본적으로 숲가꾸기, 임도 개설, 벌목 등의 산림경영과 관리 활동이 필수 불가결하다는 입장으로 보인다. 과밀화된 숲속의 잡초와 덩굴을 제거하고 병든 나무 등을 솎아베면서 생태계에 활력을 불어넣고 상황에 맞춰 솎아베든 모두베든 보다 생태적으로나 경제적으로 가치 있는 나무로 새로 심으면서 산림생태계를 갱신하는 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산림경영 활성화를 위해 규제를 개선해야 할 때 외려 숲가꾸기, 임도 개설 등을 금지하거나 최대한 규제하자는 주장은 산림경영 의지가 있는 산주·임업인들에겐 청천벽력과도 같은 소리다.

이번 논쟁이 산림녹화 시대에서 산림경영 시대로 넘어가기 위한 불가피한 성장통이라 생각하지만 산주·임업인의 고통을 줄이기 위해 학자이자 환경운동가 출신의 김인호 산림청장이 역할을 해주길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