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농수축산신문]
수출효자 품목인 농기계 수출에 빨간불이 켜졌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최근 우리나라에 일괄적으로 15%의 상호 관세를 부과한데 이어 50%의 품목관세가 적용되는 철강·알루미늄 파생제품 목록에 트랙터 부품 등 407종을 추가한 것이다. 이에 따라 트랙터에 부착돼 있는 일반 부품에 대해서는 15%의 관세를 부과하지만 철강·알루미늄 부품에 대해서는 관세 50%가 적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농기계 업계는 예상하지 못했던 추가 관세로 초비상 상태다. 우리 주력 기종인 트렉터만 해도 80~90%가 철강으로 돼 있어 그야말로 관세폭탄을 고스란히 맞게 될 형국에 놓이게 된 것이다. 가격에 민감한 북미 소형 트랙터 시장에서 경쟁력이 급격히 떨어질 것은 불보듯 뻔한 상황이다. 업계에서는 현지에서 존디어 제품보다 한국 트랙터 가격이 더 높아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국내 농기계 업체들은 그동안 포화상태인 국내시장을 벗어나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는 데 혼신의 노력을 다해 왔다. 그 결과 수출 선두 주자인 대동은 북미 시장점유율을 8.7%까지 끌어올렸고 TYM과 LS엠트론 역시 외형을 넓혀가고 있었다. 이같은 성과로 지난해 국내 트랙터 수출액 8억4664만 달러 가운데 미국 수출 비중은 73.5%인 6억2203만 달러에 달했다.
하지만 날벼락같은 이번 관세 부과로 그동안의 노력과 성과가 수포로 돌아갈 위기에 처하게 됐다.
어렵게 개척한 수출 시장을 지켜낼 수 있도록 다각도의 정부 지원책이 불가피하다. 이번 관세부과가 농업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는 농기계에 부당하게 적용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관세 예외를 이끌어내는데 주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당장 관세 부과에 따른 수출 비용 지원 방안등도 적극적으로 검토돼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업계는 관세 회피가 가능한 ‘원산지’전략을 활용, 현지화로 생존 전략을 모색하는 한편 수출국 다변화에도 나서야 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