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김진오 기자]
재생 에너지 100%(RE100) 산업단지를 만든다느니, 탄소 감축하는 기업에 융자를 지원한다느니 나라 곳곳에서 RE100이 화두다. 농축산업계에도 RE100의 바람이 부는 중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022년부터 농업·농촌 RE100 실증을 지원하고 있으며 경기도 역시 지난 2월부터 축산농가 태양광 설치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유휴공간에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해 온실가스를 감축하고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REC) 판매로 농외소득을 창출하는 것이 이들 사업의 목표인 만큼 두 마리 토끼를 한 번에 잡는 일이라고 볼 수 있다.
사업에 대한 업계의 반응은 나쁘지 않다. RE100 실증은 올해 28억 원의 예산 집행을 끝낸 것으로 알려졌다. 축사 태양광도 12개 시·군 중 용인은 사업 정원이 모두 들어차 하반기 추가 선정을 기다리고 있고 다른 시·군도 곧 선정이 끝날 전망이다.
다만 모든 일이 그렇듯 아쉬운 점이 몇 있다. 우선 RE100 실증의 경우 당초 매전을 통해 얻은 수익금을 공익 목적으로 사용한다는 세부계획이 있었지만 전력계통망 용량 부족으로 마을 사용량의 80% 선까지만 전력을 생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농식품부는 내년 사업에서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설치도 추진할 계획이다.
축산농가 지원사업도 순탄하지만은 않다. 축사는 일반적인 주거용이나 공업용 건물보다 구조가 취약하기 마련이라 태양광 발전 설비를 올리기 위해서는 보강이 필수적인데 여기에는 지원금이 따라 나오지 않는 탓이다.
마지막으로 꼽히는 문제는 홍보의 부재다. 농축산정책의 일환으로 추진하는 사업들이다 보니 농가 등에는 열심히 홍보하고 있지만 사업의 또 다른 축인 태양광공사업계는 ‘그런 사업도 있느냐’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이들 사업이 농가를 대상으로 하지만 태양광공사업체들이 아무것도 모르고 있다는 것은 사업 효과를 떨어뜨릴 수 있다. 이왕 하는 일인데 많은 사람이 알면 좋지 않을까? 공사업체도 ‘간택’ 받기만 기다릴 수만은 없지 않나.
수출기업에게 RE100 이행은 이미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고 농가도 REC 판매를 통해 국가적인 대계에 참가할 수 있다. 넘어야 할 산은 아직 존재하지만 더 강한 바람이 분다면 어렵지 않게 넘어설 수 있을 높이다. 업계가 산을 넘을 수 있도록 미진한 점을 보완한 뒷바람 정책이 불어주길 기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