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농수축산신문]
농업분야에서도 탄소감축 실적이 본격적으로 거래되는 시대가 열렸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달 26일 탄소감축 실적의 시장거래를 지원하기 위해 대한상공의회소, NH농협금융지주와 업무협약을 맺고 시범운영에 나서기로 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농업분야 온실가스 감축사업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행정적 지원이 본격화되며, ‘탄소크레딧’을 거래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 것이다. 농가소득 증대와 기업의 탄소감축 기여 확대가 기대되는 대목이다.
농업분야는 그동안 감축 활동에 대한 과학적인 측정과 검증 체계가 부족하고 시장 거래 기반이 없었던 게 사실이다. 그렇다보니 실제 환경보호 효과가 없거나 오히려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는 제품을 생산하면서도 친환경적 모습으로 포장하는 ‘그린워싱’논란이 일기도 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에 등록된 논물관리에 대해 GPS와 인공위성, 계측기를 활용한 과학적 이행점검 방식을 시범 운영하면서 신뢰성을 인정받을 수 있도록 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특히 국제적으로도 드문 논물관리 방식의 거래를 대한상공회의소 전자탄소등록부(centero)를 통해 개척했다는 점은 의미가 적지 않다 할 것이다.
그러나 이제 막 걸음마를 시작한 농업분야 탄소감축실적 거래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과제도 적지 않다. 우선 논물관리 방식 등의 거래방식을 안정적으로 정착시키는 등 시장의 신뢰를 높이는데 주안점을 둬야 할 것이다. 또한 일부 대규모 농가들만 시장에 참여하지 않도록 소규모 농가들에 대한 지원체계도 필요하다. 아울러 농민 교육과 기술 지원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시장에 참여할 수 있도록 장벽을 낮춰가야 할 것이다.
이번 시범사업이 성공적으로 시장에 안착해 농업분야 탄소크레딧 거래가 활성화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