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양양 산불로 인해 이재민이 발생하고 3대 관음기도 도량 중의 하나이며, 또한 관동팔경(關東八景)의 하나로 유명한 낙산사가 소실됐다.
정부는 부랴부랴 산불피해대책을 논의하기 위한 당정협의를 열고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 식 대책을 줄줄이 마련하고 있다.
수산정책도 마찬가지다.
최근 해양수산부는 올해 수산자원회복 계획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면서 앞으로 지속 가능한 어업질서의 새틀을 짜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수산자원 회복을 위해 전담팀을 신설하고 올해 안에 중장기 로드맵을 수립, 수산자원관리법(가칭)도 제정한다는 야무진 계획이다.
이에따라 해양수산부는 1단계로 2006년부터 2010년까지 120만톤의 자원회복 목표를 세워놓고 자원억제를 통한 자원수준 회복에 나서기로 했다.
그러나 자원회복 프로그램 계획은 시기적으로 늦어도 너무 늦은 감이 없지 않다.
연근해 수산자원의 감소로 어획량이 감소를 보인 것은 어제 오늘사이 벌어진 일이 아니다.
세계 무역의 자유화 바람이 수산에까지 미칠 것이라는 것은 삼척동자도 짐작할 일이었다.
이미 주변 국가에서는 십수년전부터 어종별 생산과 소비동향를 비롯 향후 대책에 관한 연구를 이미 끝내고 자국내 자원 보호와 회복을 위한 프로그램을 풀가동중이다. 해외투자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올해안으로 그 동안 펼쳐온 정책사업을 평가 분석해 총체적인 수산자원관리 방안을 마련한다고 한다.
자원회복 계획이 제대로 추진될 경우 현행 760만톤의 자원수준이 향후 10년내에 1.3배인 1000만톤으로 증가한다고 하니 늦었지만 제대로 시행되길 기대해본다.
